3·1운동 100주년을 맞아 한국관광공사가 전국 항일 독립운동의 역사와 활약상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곳들을 추천했다.
먼저 서울 도심 곳곳에 일제강점기의 흔적이 있는 공간이 자리한다.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경교장·정동길·서대문독립공원 등은 3·1운동 전후의 시대적 사연이 길목마다 깃든 곳이다. 서울은 항일 민족운동의 중심지였다.
서울역사박물관에는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등 시대별로 서울의 변화상이 전시된다. 3·1운동 관련 특별전 ‘딜쿠샤와 호박목걸이’ ‘서울과 평양의 3·1운동’도 열린다.
박물관 옆 경희궁은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아픈 역사가 서린 궁궐이다. 경희궁을 나서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주석 김구 선생이 집무실과 숙소로 사용한 경교장, 도심 재생에 예술을 덧씌운 돈의문박물관마을로 이어져 시간 여행을 부추긴다.
충청남도 천안에는 독립운동의 함성과 결의, 일제강점기의 고통을 되새겨 볼 만한 곳이 여럿 있다.
먼저 외침을 극복하고 독립을 지켜 온 우리 민족의 국난 극복사를 살펴볼 수 있는 독립기념관이 있다. 높이 51m에 이르는 ‘겨레의 탑’ 동양 최대 기와집인 ‘겨레의 집’ 등이 보는 이를 압도한다.
우리 역사와 일제의 침략, 독립운동을 시기별로 전시한 7개 전시관은 다양한 문헌 자료와 체험 시설로 방문객을 맞는다. 이를 따라가다 보면 독립운동의 의미와 민족의 소중함을 느낀다.
병천은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으로 번지는 도화선이 된 ‘아우내장터 만세운동’을 더듬어 보는 공간이다.
1902년 병천면 용두리에서 태어난 유관순 열사는 아우내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돼 옥사했다. 당시에 전소된 가옥과 헛간을 복원한 유관순 열사 생가가 있다.
가까운 곳에 자리한 유관순 열사 유적에는 그의 영정을 모신 추모각과 동상, 기념관 등이 열사의 숭고한 뜻을 기린다.
경상북도 안동은 시·군 단위로 전국에서 독립 유공자(약 350명)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안동의 독립운동 역사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경상북도 독립운동기념관으로 가자. 1894년 갑오의병부터 1945년 광복까지 줄기차게 이어진 안동과 경북 독립지사의 투쟁을 문헌과 자료와 영상으로 소개한다.
특히 혁신 유림이 만주 지역에서 벌인 항일 투쟁이 눈길을 끈다. 기념관을 나서면 독립운동의 성지로 알려진 내앞마을로 이어진다.
‘만주벌 호랑이’로 불린 일송 김동삼의 생가와 일가를 이끌고 만주로 떠나 독립운동에 매진한 김대락의 집(백하구려)이 있다. 임청각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의 생가이자, 3대에 이은 독립운동의 산실이다. 독립운동가의 집이자 500년 역사가 있는 고택에서 묵는 하룻밤은 특별한 경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