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세청이 인기 유튜버를 겨냥해 세무조사의 칼을 빼 들었다. 인기를 얻으며 높은 수익을 얻고 있는 사업자 전반에 탈세 여부를 확인하고 나섰다.
10일 국세청은 유튜버·연예인·해외파 운동선수 등 막대한 수익에도 변칙적으로 소득을 탈루한 혐의가 있는 신종·호황 고소득 사업자 176명을 상대로 전국 동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국세청은 한국은행·관세청·건강보험공단 등에서 과세·금융 정보를 수집해 탈루 혐의가 짙은 사업자들을 추려 냈다.
조사 대상에는 유명 연예인과 연예기획사 대표·프로 운동선수 등 문화·스포츠 분야 인사가 20명이나 포함됐다.
실제로 한 연예인은 소속사에서 낸 차량 유지비를 개인 비용으로 처리했다가 덜미를 잡혔으며, 한 연예기획사 대표는 공연장에서 판 상품 매출액을 차명 계좌로 빼돌린 정황이 포착됐다.
한 프로 운동선수는 가족 명의로 매니지먼트사를 세우고 매니저 비용 등을 거짓으로 공제받은 혐의를 받는다.
1인 미디어 콘텐트를 유통하는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사업자·웹하드 업체 대표·웹 작가·유명 유튜버 등 IT·미디어 분야 사업자 15명도 세무조사 대상이 됐다.
반려동물이 늘면서 고소득 업종으로 부상한 동물병원, 투기 열풍에 올라탄 부동산 컨설턴트 등 신종·호황 사업자 47명도 조사 대상이다.
이들은 그동안 IT·미디어 기술 발달과 1인 가구 증가에 힘입어 고소득을 올려 왔지만, 신종 업종이다 보니 과세 사각지대에 방치됐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비보험 수입 금액을 차명 계좌로 빼돌린 의사 등 전문직 39명과 부동산 임대업자 35명도 세무조사를 받는다. 세무조사 직후 신고 소득이 확 줄어 ‘축소 신고’ 의심이 가는 사업자나 탈세를 도운 세무사 20명도 포함됐다.
국세청은 가족 등 관련 인물도 조사 대상에 넣어 이들의 재산 형성 과정, 편법 증여 혐의에 대한 자금 출처 등을 꼼꼼히 살필 방침이다. 조사 과정에서 이중 장부 작성 등 고의로 세금을 포탈한 혐의가 확인되면 조세 범칙 조사로 전환해 검찰 고발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