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편의 영화로 영화계를 휩쓴 감독이 두번째 작품을 내놓았다. 소포모어 징크스를 예상하던 이들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 또 다른 명작을 만들어냈다. 관객을 치유했고 따스한 박수를 받았다. '우리들'에 이어 '우리집'을 내놓은 윤가은 감독의 이야기다.
오는 22일 개봉하는 '우리집'은 누구나 갖고 있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는, 숙제 같은 가족의 문제를 풀기 위해 어른들 대신 직접 나선 동네 삼총사의 빛나는 용기와 찬란한 여정을 담은 작품이다. '우리들'로 베를린국제영화제, 청룡영화상, 백상예술대상 등 국내외 30개 이상 영화상을 휩쓸며 전 세계가 사랑하는 감독으로 떠오른 윤가은 감독의 신작으로 주목받고 있다.
윤 감독은 또 다시 아이들을 영화의 중심에 세웠다. 마주치기만 하면 다투는 부모님이 걱정인 12살 하나(김나연)와 한달이 멀다하고 이사를 다니는 것이 싫은 유미(김시아)·유진(주예림)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여름날 풀냄새가 날 것 같은 스크린 위에 아이들의 예쁜 순수함이 떠다니다 관객에게까지 닿게 만든다. "우리집은 진짜 왜 이럴까?"라는 하나의 대사 등 아이들의 이야기지만 어른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낸다. 과연 윤가은 감독의 내공이 듬뿍 담긴 '우리집'이다.
-어디서 이야기의 소스를 얻는 편인가. "가족 이야기는 일기장에도 안 썼던 것 같다. 기억 속에 알알이 박혀있다고 해야할까. 바꿀 수 없는 우리 가족 안에서의 감정 등을 조금씩 다 기억하지 않나. 저도 그런 기억이 많다. 그래서 가족 이야기를 오랫동안 좋아했다. 그 안에서 끄집어내다보니 이것저것 생각이 많이 났다."
-아역 배우들의 관람 소감은 무엇이었나. "작품에 참여한 친구들이니까 객관적인 감상이 될지는 모르겠다. 한달전 쯤 처음 영화를 보여줬는데, 아이들이 생각보다 깊이 들어가서 감정을 이해하더라."
-흥행을 어느 정도 예상하나. "많은 분들이 봐주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많이 한다. 대중을 만나고 싶은데, 제가 할 수 있는 이야기로 어떻게 대중과 만날 수 있을까란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 더 많은 관객 분들이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우리' 시리즈를 계속 볼 수 있는 걸까. "처음부터 시리즈로 가겠다는 계획은 아니었다. 지금은 그런 마음이 한편으로는 생긴다. 한편으로는 인정하는 부분도 있다. 이것이 나의 취향이기도 하고, 개인적 관심사이기도 하니까. 꼭 다음 작품이 아니더라도 비슷한 이야기를 언젠가 또 하지 않을까. 세계관까지는 아니지만, 그 동네에서 계속 자라나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의 세계에서도 어른들처럼 너무나 다양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들'을 함께 했던 배우 장혜진이 '기생충'으로 칸 국제영화제를 다녀왔다. "칸에서 '기생충'이 상을 받았을 때 우리의 국경일이었다.(웃음) 우리 큰 언니가 금의환향했다며 자랑하기도 했다. 워낙 좋은 배우이고, 누군가는 당연히 알아봐주실 거라고 생각했다. 근 미래에 좋은 영화에서 좋은 감독님과 하시게 돼서 정말 뿌듯하고 좋았다. 자랑도 엄청 많이 했다. 대신 축하도 받았다. 하하하."
-사람 복이 많은 듯하다. "사주에 인복이 좋다더라.(웃음) 사람 복이 정말 많다는 생각을 한다. '이 사람들 없이 영화를 찍을 수 있었을까'란 생각이 든다. 영화는 혼자 찍는 게 아니다. 좋은 코멘트를 받으면서 오류를 수정해야 하고, 배우들이 없으면 아예 찍을 수 없다. 같이 하는 작업이다. 천운이다. 좋은 일을 많이 하고 잘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앞으로 또 어떤 이야기를 영화에 다고 싶나. "여자들의 이야기를 조금 더 하고 싶다는 생각은 있다. 조금 더 지켜보고 싶은 이야기들도 있고. 지나칠 수도 있는 일상 안에서 중요한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다. 다음 작품을 빨리 하기 위해선 제가 내공을 빨리 더 쌓아야겠다."
-소포모어 징크스가 없는 듯하다. "그런가. 첫 작품이 가장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두번째 작품이 더 어렵다. '영화를 내가 왜 하지?'라는 질문도 스스로에게 많이 했다. 아직도 저는 영화가 어렵고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