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로 인해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남성의 전립선 질환이다. 중년 이후 비뇨기 질환 유병률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인데 조기에 관리해야 생활에 불편없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중년 남성의 대표적인 비뇨기 질환으로 전립선 비대증이 있다. 전립선비대증의 조직학적 변화는 35세부터 시작되며 60대의 경우 60~70% 나타나고 70세이후 거의 모든 남성에게서 나타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전립선 비대증이 생기는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노화와 남성 호르몬이 주요 요인으로 여겨진다.
전립선은 남성의 생식기관으로 근육조직과 전립선액을 만드는 샘조직으로 구성되어있다. 구조상 방광 아래에서 요도를 둘러싸고 있으며 양쪽으로 정액관을 요도로 연결시는 역할을 하는데 생식과정에서 사정을 일어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요도를 감싸고 있다 보니 질병이 생기거나 비대해질 경우 요도를 압박하게 되어 여러가지 불편감을 유발하는 것이다.
전립선비대증의 증상으로는 배뇨 장애, 즉 소변을 보고 난 후에도 소변이 남아있는 것 같은 느낌인 잔뇨감을 포함해 빈뇨, 간헐뇨, 약뇨, 야간뇨 등이 있고 심한 경우에는 소변을 전혀 볼수 없는 요폐색도 발생한다. 대부분 전립선의 물리적인 크기와 전립선을 구성하는 근육조직이 수축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증상이다.
특히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는 환절기에 배뇨 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여름에는 땀으로 일부 수분이 배출되지만 날씨가 추워지면서 수분 배출이 대부분 소변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증상을 방치하면 과민성 방광, 요독증, 신장 기능 저하 등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 잔뇨감이 느껴진다면 전립선비대증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
한편 알코올, 카페인 음료는 방광을 자극시켜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섭취를 지양하고 규칙적인 배뇨 습관을 가지는 생활 속 실천이 중요하다. 전립선비대증은 고령화로 인해 흔한 질환이 되고 있으므로 40대 이상 남성이라면 증상이 없더라도 1년에 한번씩 건강검진을 통해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도움말=엘앤에스 비뇨의학과 이석재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