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중앙회 박재식 회장(좌측 여섯번째)과 저축은행 업계 대표들이 6일 서울 중구 세종호텔에서 열린 신년인사회 자리에서금융소비자 중심 경영을 위한 자율결의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지난해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등으로 앓는 소리를 내던 저축은행들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하다가 ‘이자 잔치’를 벌이게 된 저축은행들은 ‘서민 금리부담 완화’를 외치며 당국의 눈치를 살피는 모양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 집계 결과, 지난해 79개 저축은행의 순이익은 1조2600억원으로 예상된다. 재작년 순이익 1조1185억원보다 12% 증가한 수치다.
저축은행들은 2018년에도 전년 대비 3.9% 증가, 이미 2년 연속 ‘연간 순익 1조원 달성’ 쾌거를 이뤘는데, 작년 이익은 더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의 저축은행 영업실적 자료에서도 지난해 9월 국내 79개 저축은행은 누적 당기순이익은 총 9374억원으로 집계, 1년 전(8498억원)보다 10.3% 증가하며 역대 최대 규모 실적을 예고했다.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초만 해도 당국의 대출규제 강화로 실적이 악화할 것이라며 우려했다. 정부가 법정 최고금리를 연 27.9%에서 24%로 하향 조정했고, 대출금리 연 20% 이상의 고위험 대출에 대한 추가 충당금 적립 부담을 높여 실적 행진에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실제 1분기에는 ‘충당금 규제’ 여파로 전년 대비 3.8% 감소한 실적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실적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우려는 수그러들었다. 부실에 대비해 미리 쌓아두던 충당금은 대출이 상환되면서 다시 이익으로 잡혀 실적 개선 폭이 커졌다. 여전히 대부분의 대출고객이 연 20% 안팎의 높은 금리를 물고 있다는 점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저축은행 CEO들은 합리적 우려가 ‘앓는 소리’가 되면서 지난 6일 모여 소비자 보호와 권익을 중시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서민들의 대출금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정책금융상품과 중금리 대출 상품을 늘리겠다”며 서민금융 강화를 외쳤다.
이는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대출금리가 합리적이고 투명하게 산정될 수 있도록 저축은행 대출금리 산정체계를 개편하려는 움직임과 맞물린다.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 순익의 대부분은 가계대출 확대에 따른 이자 수익이 차지한다. 서민금융을 내세우더니 이자 장사로 실적 잔치를 벌이게 됐다”며 “당국의 눈치가 보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