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여파로 상반기 내내 침체돼 있었던 영화계와 공연계에 정상화 바람이 분다. 공연 강행으로 코로나19 확진자까지 발생했던 공연계는 철두철미한 안전예방 속 더 이상의 취소와 연기없이 따뜻한 5월 무대를 준비 중이고, 영화계 역시 극장들의 정상 운영과 함께 5월 21일 '침입자'를 시작으로 신작 개봉 기지개를 켠다. 최대 고비이자 사실상 코로나19 종식을 확인케 할 5월 초 연휴를 큰 피해없이 잘 넘기는 것이 관건. 코로나19가 다시 기승을 부린다면 모든 계획은 백지화, 여름과 하반기까지 피해 확산이 예측되는건 당연한 수순이다. 최소한의 도덕적 행위들로 죽어있던 문화의 꽃이 피어나길 모두가 희망하고 있다.
극장으로 향하는 관객들의 발길이 뚝 끊기면서 IPTV와 넷플릭스 등 OTT(Over The Top·기존 통신 및 방송사가 아닌 새로운 사업자가 인터넷으로 드라마나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산업은 신났다. 스크린용 제작 영화 최초로 OTT 공개를 선택한 '사냥의 시간'은 코로나19가 낳은 변화의 주인공으로 두고두고 회자 될 전망이다. 지난 23일 전세계 190여 개국 넷플릭스 공식 공개까지 숱한 우여곡절을 겪어야 했던 기다림의 시간. 베일벗은 '사냥의 시간'은 누군가에겐 감개무량한 감동으로, 누군가에겐 처참한 감상으로 남으며 극과극 반응을 자아내고 있다.
출연: 이제훈·안재홍·최우식·박정민·박해수
감독: 윤성현
장르: 스릴러
줄거리: 새로운 인생을 위해 위험한 작전을 계획한 네 친구들과 이를 뒤쫓는 정체불명의 추격자 사이 숨 막히는 사냥의 시간을 담아낸 추격 스릴러
등급: 15세 관람가
러닝타임: 135분
한줄평: 생고생의 시간
별점: ●●◐○○
신의 한 수: 새로운 세계관을 설정하고, 신선한 도전 자체에 의의를 둔 '사냥의 시간' 특유의 분위기는 잘 완성됐다. 새빨간 비주얼을 메인 컬러로 영화 전체를 아우르는 어둡고 칙칙한 공기 역시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기운과는 잘 어울린다. 현금 가치가 폭락하고 마약, 총이 난무하는 시대. 사람이 살 수 없고, 그야말로 미쳐 돌아가는 시대. 벼랑 끝 청춘들의 도박장 털기로 오프닝 30분을 할애하는 '사냥의 시간'은 이후 '추격 스릴러'라는 장르적 목표를 명중 시키며 얽히고 설킨 관계 속 쫓고 쫓기는 긴박감을 최고조까지 끌어 올린다. 낯설음 속 전문적인 총기 액션과 '힙(HIP)'한 음악도 젊은 관객층의 마음을 사로잡기엔 딱이다. 캐스팅도 최상의 조합을 입증시켰다. 이제훈·안재홍·최우식·박정민·박해수는 제 몫의 120%를 소화하며 실망없는 연기력을 펼쳐냈다. 이제훈은 10년 전 '파수꾼'에 이어 '사냥의 시간'에서도 그토록 기다렸던 날 것의 이미지를 고스란히 뽐내며 다시금 배우 이제훈에 대한 기대 가치를 높였고, 오랜만에 보호본능을 자극하는 박정민은 처연함 속 임팩트 있는 한 방을, 최우식은 의외의 남성미를, 안재홍은 안재홍을 통해 보고싶은 모든 것을 쏟아냈다. 사실상 '사냥의 시간'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사냥꾼 한 역할의 박해수는 존재만으로도 '공포' 장르를 완성, 곧 '배우가 곧 장르다'의 수식어를 꿰찰 떡잎을 보였다.
신의 악 수: 쉽게 개봉일을 잡지 못하는 작품엔 분명한 이유가 있다는 공식을 '사냥의 시간'은 깨부수지 못했다. 작품에서 배우들이 먼저 보인다는 것, 배우들만 보인다는 것, 그들의 생고생이 측은하게 눈에 담긴다는 건 영화에 대한 만족도는 제로에 가깝다는 것을 뜻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뢰와 비즈니스 적 문제였지만 '사냥의 시간'을 두고 그렇게 싸울 필요가 있었는지 의문이 들 정도로 뚜껑열린 '사냥의 시간'은 딱 기다림만큼의 실망감을 안겼다. 온갖 보기 좋은 것들로 치장해 놨지만 알맹이는 쏙 빠졌다. 2018년 촬영을 마쳤고, 2020년 공개가 된 이유 때문일까. '사냥의 시간'이 그려낸 헬조선 배경의 이유부터 설득되지 않으니, 캐릭터들이 아무리 날고 기어도 관객들은 그 안에 들어가지도, 그렇다고 공감하며 지켜보지도 못한다. 명분도 없고 개연성도 없고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다. 청춘을 주인공으로 온갖 유해한 설정은 다 쏟아 부어 눈을 어지럽게 만들고, 대사의 절반은 욕설로 채워 귀를 따갑게 한 점도 마이너스. 밑바닥 인생을 '한 탕'으로 끌어 올리려는 최초의 움직임은 '중2병 허세 말기'라는 한 줄로 표현 가능하다. '파수꾼'의 청춘들은 성장했고, 독기도 품었지만, 윤성현 감독은 아쉽게도 10년간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있었던 것이 아닐까 의심케 만드는 결과물이다. 다만 어떻게든 프로젝트의 끝장을 봤다는 끈기 하나는 인정이다. 다시 0에서 시작 될 윤성현 감독의 시간과 방향성에 '파수꾼' 때 만큼의 기대치는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