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달 23일 경기도 이천시 SKMS연구소에서 열린 '2020 확대경영회의'에서 기업가치 제고 방안에 관한 발표를 경청하며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SK그룹 최태원 SK 회장의 30년 ‘뚝심 투자’가 SK바이오팜의 상장 대박으로 결실을 맺었다.
SK바이오팜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첫날인 2일 가격제한폭까지 급등하며 흥행역사를 새로 썼다.
이날 9만8000원에 시작한 SK바이오팜은 가격제한폭인 29.59%(2만9000원) 오른 12만7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공모가(4만8000원)보다 164% 상승한 것이다.
이에 SK바이오팜의 시가총액은 9조9458억원으로 단숨에 코스피 시총 순위 26위(우선주 미포함)에 올랐다. 또 삼성바이오로직스과 셀트리온에 이어 제약·바이오 톱3 대장주에 등극했다.
SK바이오팜의 대박은 지난달 23∼24일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청약에서 경쟁률 323대 1을 기록하고 국내 기업공개(IPO) 사상 최대 규모인 31조원에 달하는 청약 증거금을 모으면서 이미 점쳐졌다.
SK바이오팜의 상한가에 우리사주를 배정받은 임직원들도 대박을 꿈꾸게 됐다.
SK바이오팜 증권발행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의 우리사주 배정 물량은 244만6931주다. 임원이 6명, 직원이 201명인 점을 고려하면 임직원 1인당 평균 배정 물량은 1만1820주가 된다.
이 경우 주식 평가금액은 15억114만원에 달한다. 여기에서 공모가 기준으로 계산한 주식 매수금액(5억7918만원)을 뺀 평가 차익은 1인당 9억2196만원에 달한다.
배정 물량에 따라서는 10억원 이상의 수익을 낸 임직원도 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SK바이오팜 팀장급의 경우 2만주 이상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사주 제도는 IPO나 유상증자 시 발행 주식 물량의 20%를 자사 직원들에게 우선 배정해 직원들에게 재산 증식의 기회를 주는 대표적인 기업복지 제도다. 다만 우리사주의 경우 보호예수기간 중에는 처분할 수 없다.
이에 SK바이오팜 임직원들도 1년의 보호예수기간에 매도가 불가능해 현시점에서 현금을 손에 쥘 수는 없다.
발언하는 조정우 SK바이오팜 대표. 연합뉴스 제공 조정우 SK바이오팜 사장도 이날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상장기념식에서 "오랫동안 투자를 지속해 준 SK에 감사한다"며 최 회장에게 공을 돌렸다.
SK는 1993년 대덕연구원에 연구팀을 꾸리면서 제약사업에 도전했다. 특히 거액의 투자비에 실패 가능성이 높은 혁신 신약 개발에 집중했다.
최 회장은 2002년 바이오 사업의 꾸준한 육성으로 2030년 이후에는 바이오 사업을 그룹의 중심축 중 하나로 세운다는 장기 목표를 제시했다.
최 회장은 2007년 지주회사 체제 전환 이후에도 신약 개발 조직을 따로 분사하지 않고 지주회사 직속으로 둬 그룹 차원에서 투자와 연구를 지속하게 했다.
SK는 신약 개발 사업의 집중 육성을 위해 2011년 사업 조직을 분할해 SK바이오팜을 출범시켰다.
SK바이오팜은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허가받은 신약 2개를 보유했다. 뇌전증(간질) 신약으로 개발된 세노바메이트(제품명 엑스코프리)는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 허가까지 독자적으로 진행해 미국에 진출하는 성과를 냈다. 국내 제약사가 자체 개발한 신약을 기술수출하지 않고 FDA에 직접 판매허가를 신청해 승인을 획득한 건 세노바메이트가 처음이다.
SK바이오팜이 임상 1상 시험을 완료하고 기술 수출한 수면장애 치료제 솔리암페톨(제품명 수노시)은 현재 미국과 독일에서 판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