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꼽는 아마추어 종목 중 경륜에 가장 적합한 종목은 1KM 독주와 스프린터다. 경륜 황제로 불렸던 8기 홍석한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아마추어 최강자였다. 홍석한의 주종목이 바로 1KM 독주다. 홍석한은 데뷔 당시 1KM 독주 출신답게 강력한 선행력을 바탕으로 한 바퀴 승부를 전매특허 삼아 승승장구했다. 홍석한은 데뷔 초창기 근지구력을 배가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훈련으로 1KM 독주 훈련을 꼽기도 했다.
다음으로 스프린터 출신들도 종목 특성상 임기응변과 속도전에 강한 면모를 바탕으로 경륜에 빠른 적응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1기 수석인 성낙송과 23기 전원규, 22기 최래선, 김희준, 정해민을 비롯해 9기 수석 김치범, 7기 수석 현병철과 4기 엄인영, 2기 김보현, 정성기, 1기 수석 허은회 등 과거 벨로드롬을 주름 잡던 선수들 또한 스프린터 출신들이다.
25기 최대어인 임채빈은 1KM 독주 종목뿐 아니라 스프린터 종목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1KM 독주를 통해 다져진 근지구력과 스프린터를 통해 터득한 순발력 및 경주 운영 능력을 겸비한 임채빈은 데뷔 전부터 이미 경륜에 최적화된 선수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1KM 독주와 스프린터 종목 출신은 아니지만 현 경륜 지존은 그랑프리 대상경륜 최다 우승자이자 4연패라는 대업을 이룬 정종진으로 도로와 중장거리 출신이다. 사실 정종진보다 먼저 도로 출신 중 두각을 나타낸 선수는 11기 조호성이다. 그는 트랙의 최장거리 종목인 포인트 레이스와 도로 종목에서 최강자였다.
조호성의 47연승을 넘어선 정종진은 선배가 기록한 그랑프리 3연패까지 넘어서며 그랑프리 최대 연승인 4연패 (2016-2019년)를 달성하며 경륜 역사에 새장을 열었다. 정종진이 이처럼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데뷔 이후 뼈를 깎는 고통을 감내하며 완성한 체질 개선 덕분이다. 도로 출신의 마른 몸에서 경륜에 최적화된 근육질 몸을 만드는 데 성공하며 최강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설경석 최강경륜 편집장은 “아마추어 시절 트랙 종목을 소화한 선수들이 경륜에 유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정종진처럼 체질 개선으로 새롭게 몸을 만들 경우, 도로 선수나 포인트, 제외 경기 등 중장거리 출신들로 얼마든지 최강자가 될 수 있다”며 “신은섭과 장경구 또한 이런 유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