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의 My렌탈 카드사가 렌털 서비스에 힘을 주고 있다. 가전제품·IT 등을 공유하는 트렌드가 확대되면서 중소 렌털사업자들과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중개 플랫폼 운영 확대에 나선 것이다.
2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소비 이력 데이터를 풍부하게 가지고 있는 카드사가 렌털사업자들이 하기 어려운 중개 서비스를 대행해주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지난해 11월 신한카드가 중소 제조사와 유통사가 소비자들에게 손쉽게 렌털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마이렌탈샵(My렌탈)’을 내놨다. 이 서비스는 지난 2020년 2월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금융서비스로 선정된 바 있다.
마이렌탈샵은 우수한 제품을 생산·유통하는 중소기업이 별도의 렌털 프로세싱 구축 없이 렌털 시장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렌털 심사, 전자계약, 청·구입금 등 계정 관리를 신한카드가 대행하는 상생 협력 기반의 렌털 플랫폼이다.
신한카드는 일단 루컴즈전자, 복정제형(코지마), 성우메디텍, 코스테크, 퓨어웨이 총 5개 업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렌털 사업을 진행 중이다
신한카드 측은 “마이렌탈샵 출시를 통해 소유에서 공유로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더 많은 기업의 참여와 고객들의 렌털 이용 경험의 확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삼성카드 렌탈 홈페이지. 비슷하게 삼성카드는 '삼성카드 렌탈'을 통해 2017년부터 국내 렌털사업자와 제휴해 다양한 상품의 렌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삼성카드 렌탈'은 삼성카드 회원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들이 실적 조건 등을 따질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선택받고 있다.
바디프랜드 안마의자부터 SK매직 정수기·웰스정수기와 비데 등 삼성카드를 통해 결제하면 할인도 제공해줘 기존 상품과 삼성카드를 이용하던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리하다.
KB국민카드는 다른 곳과는 다르게 아이폰·아이패드 등 애플 제품 구매나 이용을 원하는 개인 또는 사업자를 대상으로 '리스 금융'을 시작했다. KB국민카드가 제품을 구매해, 리스 약정한 소비자가 매월 이용료를 내며 사용하는 빌려 쓰는 방식이다.
12개월부터 최대 60개월까지 원리금균등방식으로 리스료를 납부하고 만기 시점에 해당 제품을 인수하는 인수형 상품은 혹은 월 납입액 부담을 줄어든 반납형 상품 중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 롯데카드나 BC카드가 렌털 사업을 고려하고 있다. 롯데카드는 이미 금융감독원에 시설대여업(리스업) 등록을 마쳤다.
카드사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카드사들 대부분이 수익 다각화에 골몰하고 있다"며 "이런 렌털 서비스는 최근 트렌드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과 금융당국의 포용금융 정책에 부합하는 서비스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