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실패와 대규모 투자 손실 등의 각종 악재에 휩싸였던 바이오기업 헬릭스미스가 정면돌파를 시도하고 나섰다.
헬릭스미스의 김선영 대표는 3일 오후 2시부터 주주와 공개토론을 진행한다. 현재 헬릭스미스의 소액주주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경영진 해임 촉구를 요구하고 있다. 헬릭스미스도 주주들의 허위사실 유포 및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등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 대표는 이번 공개토론을 통해 그동안의 오해를 풀고 주주 달래기에 나선다는 포석이다.
1996년 바이로메드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헬릭스미스는 한때 시가총액 코스닥 2위까지 올랐던 기업이다. 하지만 기대가 컸던 유전자 치료제 엔젠시스(VM202)의 당뇨병성 신경병증(DPN)에 대한 미국 임상 3-1상 결과의 실패로 주가가 곤두박질 쳤다. 이어 경영·재무 영역의 악재까지 겹치면서 주주들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헬릭스미스는 2016년부터 5년간 사모펀드·사모사채·파생결합증권(DLS) 등 고위험 자산에 2643억원을 투자했다가 큰 손실을 봤다. 매출의 60배에 가까운 규모를 투자한 것이다. 투자한 상품만 68개에 달할 정도여서 바이오기업이 아닌 투자운용사라는 비아냥까지 나왔다.
헬릭스미스는 옵티멈자산운용과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이 운용한 팝펀딩 관련 사모펀드에 390억원을 투자했지만 회수한 자금은 64억원에 그쳤다. 또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독일 헤리티지 DLS에도 25억원을 투자해 한 푼도 회수하지 못했다.
이 같은 재무적인 이슈를 해소하기 위해 헬릭스미스는 지난 2월 재무 책임자를 새로 영입했다.
지난 3월 주총에서는 파격적인 제안으로 주주 달래기에 나서기도 했다. 김선영 대표는 “내년 10월까지 임상 성공과 주가 10만원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면 보유 주식을 전부 팔아 회사에 기여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대표는 5.21%(178만4996주)의 지분을 보유한 대주주다.
2일 종가 기준으로 헬릭스미스의 주가는 3만1050원이고, 시가총액은 1조원 수준이다. 헬릭스미스는 주주 공개토론회에 이어 오는 7월14일에는 임시주총을 열어 주주 간의 갈등 해소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