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서정이에게 ‘기 좀 줘’라고 그랬더니, 이렇게 두 주먹으로 맞대줬어요. 선배이자 스승 (양)학선이 형 덕에 땄습니다.”
도쿄올림픽 체조 도마에서 깜짝 금메달을 딴 신재환(23·제천시청)이 밝힌 소감이다.
신재환은 2일 일본 도쿄 아리아케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남자 기계체조 도마 결선에서 1, 2차 시기 평균 14.783점을 획득해 데니스 아블랴진(러시아올림픽위원회)와 동점을 이뤘다. 그러나 난도 점수가 높은 6.0점짜리 기술을 펼친 덕분에 신재환은 금메달을 차지했다.
2012년 양학선(29)에 이어 한국체조 사상 두 번째 금메달이다. 또 이번 대회 여자도마 동메달리스트 여서정에 이어 메달을 획득했다. 신재환은 경기 후 양학선과 여서정에게 고마움을 표했다. 믹스트존(공동취재구역)에서 신재환은 금메달을 딴 사람이 맞나 생각이 들 정도로 무덤덤했다.
-울었나요. “지금도 그냥 실감이 안 나서 무덤덤합니다.”
-2차 시기 뛰고 실감이 났나. “잘했다는 안도감 때문에 기뻤습니다. 메달은 그 후의 일이니까. 잘했다는 안도감 때문에 기뻐했다는 게 큽니다.”
-1차 때 점수가 잘 안 나왔는데. “손 짚자마자 안 될 줄 알고. 도마하는 사람들은 ‘됐다, 안됐다’ 판가름이 되거든요. 안됐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무조건 서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잡아 채니 운 좋게 섰던 거 같아요.”
-여2 완성도는. “90%라고 생각합니다. 높이 때문에, 높이 내려고 실수한 적이 여러 번 있어서. 이번에 살짝 쫄아 가지고.”
-초반에 땀을 ‘삐질삐질’했다. 많이 긴장했나. “아무 생각 없었어요. 그냥 긴장 때문에 생각이 많아진 게 아니라. 들어가기 앞에서 ‘어떻게, 어떻게 해야겠다’고 수많은 생각 한번에 하니. 그렇게 보인 거 같아요.“
-손 각도는 “처음에는 이렇게 돌려서, 이렇게 시도했다가. 루틴이 됐다. 이거 안 하면 불안해서. (장풍 쏘는거 같은데?) 끄응.”
-여서정과 양학선이 한 마디씩 해줬나. “(서정이가) ‘오빠 꼭 잘하라’고. ‘서정아 기좀 줘’ 그랬더니, 이렇게 두 주먹으로 맞대줬어요.”
-학선이 형 조언은? “그냥 ‘너 믿고 잘하라’고만. 더 할 얘기도 없고. 이제 와서. 믿고 하는거기 때문에. 가장 해줄 수 있는 현실적인 조언이었어요. 형이 오늘 경기장에 왔어요. 목청 터져라 응원한거 같아요.”
-금메달 확정 후 어떤 생각? “서고 나서는 ‘잘했다’ 안도감 빼고는. 그냥 좀 허무했어요.”
-한국은 왜 도마를 잘할까. “제 개인적인 생각인데. 원래 기준치 70이었다면, 학선이 형이 95정도로 만들어 놓고. 따라잡으려고 하다 보니 평균치가 올라가서 잘하니 않나.”
-허리수술을 극복했다는데. “그냥 아파서 수술했고, 그리고 재활해서, 그냥 복귀했습니다. 고2말 때. 그 얘기는 별로 하고 싶지 않습니다.”
-데뷔 4년 만에 올림픽 금메달을 땄다. 대표 됐을때 부터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갈 것 같은데 “절 지도해주셨던 분들의 얘기만 믿고. 지도해주신 대로 쭉 끌어왔고. 그 가르침대로 쭉 했더니. 값진 메달까지 올 수 있었던거 같아요.”
-가장 고마운분은 “운동 외적으로는 가족, 부모님이 가장 고맙고. 운동적으로는 지도자 선생님, 한국체대 교수님들, 제천시청 감독님, 코치님. 그리고 제가 진짜 좋아하고 믿고 따르는 형들. 그리고 솔직히 이번에 (김)한솔이 형과 같은 방을 썼는데. 제가 멘탈이 ‘바사삭’ 될때마다 멘털 케어 잘해줘서 덕을 봤던 것 같아요. 제가 맨날 불안해하거나 그러니깐. 형이 ‘불안해할 필요없다‘고. 솔직히 제가 한숨 쉬면 옆 사람 힘빠지고 그러는데. 한솔이형이 그럴때마다 잘 케어해주셔서 좀 더 편하게할 수 있었어요.”
-양학석은 어떤존재? “학선이 형은 선배지만 스승”
-언론에서 '비밀병기' 표현. 어떤 느낌이 들었나. “별생각 안 들었구요. 주위에서 친구들이. 아.. 여기까지만하겠습니다.”
-이따가 양학선 만나면? “고맙다고. 형 덕에 딴 겁니다.”
-양학선 키즈처럼 신재환 키즈도 생길까 “그럴거 같진 않아요.”
-자기 기술 시도도? “기회가 된다면 만들겠지만. 당장은 좀 힘들 것 같아요. 향후 2-3년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