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이 8일 밤 17일간의 열전을 마무리했다. 5회 연속 올림픽 종합 10위를 목표로 했던 한국 선수단은 최종 16위로 대회를 마쳤다. 사상 첫 종합 10위에 오른 1984년 LA올림픽 이후 가장 낮은 순위다.
금메달(6개)을 획득한 종목이 3개(양궁·펜싱·체조)에 불과하다. 2008년 베이징 대회에선 8개 종목, 2012년 런던 대회에선 7개 종목에서 금맥을 캤다. 직전 2016년 리우 대회에서도 골프를 비롯한 5개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이번엔 달랐다. 금메달을 4개 휩쓴 양궁이 아니었다면 더 낮은 순위표에 자리할 수 있었다.
국제대회 경쟁력도 숙제로 남았다. 5년 전 리우 대회 때만 하더라도 순위에서 앞섰던 헝가리, 쿠바, 뉴질랜드, 브라질, 캐나다 등에 모두 뒤처졌다. 리우 때 3개 차이였던 '아시아 라이벌' 일본(27개)과의 금메달 격차도 21개까지 벌어졌다. 한국은 전체 메달이 20개(은메달 4개, 동메달 10개)지만 일본은 사상 최다인 58개(은메달 14개, 동메달 17개)를 휩쓸었다. 자국에서 열린 대회의 이점을 잘 살려 유도, 체조, 스케이트보드, 야구, 펜싱, 권투, 탁구 등 다양한 종목에서 강세를 보였다.
한국은 한때 '메달밭'이던 유도, 레슬링, 사격이 노골드에 그쳤다. 특히 2000년 시드니올림픽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에서 사상 첫 단 하나의 금메달도 따내지 못하는 굴욕을 당했다. 이기흥 대한체육회 회장은 "한국에 돌아가면 각 연맹 관계자, 전문가들과 근본적인 문제를 같이 한 번 성찰하겠다"고 말했다.
수확이 없었던 건 아니다. 수영에서 각종 기록을 갈아치운 황선우(18·서울체고), 4년 만에 높이뛰기 한국신기록을 세운 우상혁(25·국군체육부대), 사상 첫 부녀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된 체조 여서정(19·수원시청) 등 2024년 파리올림픽이 기대되는 선수들이 두각을 나타내기도 했다. 경쟁력이 떨어진 종목을 끌어올리면서 메달권 선수들의 경기력을 유지하는 게 대한체육회의 숙제로 남았다.
이번 대회 욱일기를 둘러싼 논란도 뜨거웠다. 지난 5일 열린 스포츠클라이밍 남자 콤바인 결선 볼더링 3번 과제 암벽이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욱일기를 연상시킨다는 지적이 줄을 이었다. 외신에서도 '욱일'을 의미하는 '라이징 선(Rising Sun)'이라고 3번 과제를 지칭하기도 했다. 이기흥 회장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욱일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문서로 받았다"면서도 볼더링에 대해선 "형상물로 봐야 하지 않나 싶다. 그렇게까지 생각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