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씨마크 호텔 `호안재` 객실에서 바라본 풍경 우아하게 하늘로 솟은 처마와 조용하고 곧게 뻗은 나무 기둥, 코끝을 은은하게 감싸는 자연의 향을 누릴 수 있는 전통 한옥에서의 하룻밤은 특별하다. 오히려 익숙하지 않은 한옥의 공간이 화려하게 다가오기도 하고, '호사'라는 기분이 들기도 한다.
다가오는 추석 명절에도 마음 놓고 일가친척이 모이기 어려워진 상황이라 각자의 명절을 계획하고 있다면, 전통에 흠뻑 취하고 명절 분위기도 내기 좋은 한옥 호텔의 '한옥캉스'는 어떨까.
이런 곳에 한옥 호텔이? 경원재·호안재
이미 시설 좋고 인피니티풀로 유명한 호텔인 강릉 씨마크 호텔에 한옥 호텔이 자리하고 있다.
1971년 개관한 이래 강원 지역을 대표해온 ‘호텔현대 경포대’가 2015년 재건축해 재탄생한 ‘씨마크 호텔’은 새 이름으로 개장하면서 강릉뿐 아니라 강원도 지역을 대표하는 럭셔리 호텔이 됐다.
강릉 씨마크 호텔 바로 옆에 위치한 한옥 호텔 `호안재` 호텔 한쪽에는 '호안재'라는 한옥이 씨마크 호텔 본관 옆에 따로 지어졌는데, ‘나비가 편안히 쉬었다 가는 곳’이라는 고운 이름답게 호텔의 공기가 차분하다.
푸른 소나무와 고아한 한옥의 멋이 돋보이는 한옥 독채로 도시 한옥 건축가 황두진이 설계를 맡아 한옥 스타일의 스위트룸으로 디자인했다.
스위트룸 내부로 들어가면 아늑하지만 호화롭다. 고급스러운 침구와 넓은 객실에서는 조금만 창을 열어두면 숙소를 에워싼 소나무 향을 만끽할 수 있어 마음이 절로 편안해진다.
씨마크 호텔의 스위트룸답게 호안재에서는 호텔 본관의 수영장, 사우나, 라운지 등을 모두 누릴 수 있다. 관광객이 많은 강릉의 복잡함 속에서 한옥의 고적한 분위기와 현대적 편안함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일석이조 공간이다.
게다가 강원도 강릉과 차를 타고 조금만 가면 나오는 속초 일대까지 소문난 맛집과 멋진 카페도 있으니 맛있는 명절까지 놓치지 않아도 된다.
관광지가 아닌 도심 속에 위치한 한옥 호텔도 있다.
경원재 앰버서더 인천의 연회장 경원루 경원재 앰배서더 인천은 인천 송도에 있으며 초고층 빌딩 숲속에서 고풍스러운 전통미를 뽐내며 장관을 연출한다.
호텔스닷컴이 꼽은 대표 한옥 호텔인 경원재 앰배서더 인천은 국내 최대 규모의 한옥 호텔로 지난 2015년 개관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한옥 호텔로 자리매김했다.
도심 속에 있다고 해서 전통의 옛 방식과 현대의 편안함, 그 어딘가의 어중간함을 생각했다면 오산이다. 넓은 대지에 단층으로만 구성된 경원재는 손잡이 하나, 중정 가운데에 조명 하나까지 전통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노력한 곳이다. 옛 궁중의 예를 다하는 고객 친화형 서비스로 방문객들의 반응도 좋다.
경원재의 객실은 30개뿐이라서 호텔 로비가 붐빌 겨를도 없다. 스위트룸에는 중정과 개인 뒷마당, 툇마루까지 있어 한옥의 내외부를 프라이빗하게 즐기기도 좋다.
한국의 멋과 맛을 경험할 수 있는 한식당 수라도 호텔 내에서 즐길 수 있다. 엄선한 식재료로 만든 궁중음식, 즉 한국말로 '수라'를 식탁에 올리듯 수라는 계절 재료들의 특별한 맛을 부각하기 위해 섬세하게 맛있는 음식을 차려낸다.
또 아이와 함께인 가족들은 넓은 마당에서 투호·제기차기·윷놀이·양궁·팽이 등 한국 전통 놀이도 경험할 수 있다.
'남원예촌 by 켄싱턴' 전경
자연 속에 스며든 한옥…남원예촌·왕의 지밀
한국 고전 소설 춘향전이 시작된 곳 '남원', 그리고 대표 관광지 광한루원 옆에는 한옥 호텔인 '남원예촌 by 켄싱턴'이 있다.
남원예촌은 한옥 호텔로 조선 시대의 전통 건축양식을 자랑하며 22개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다.
건물들은 모두 대표적인 한옥 명장들이 시멘트나 스티로폼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진흙·대나무·해조류 등 직접 자연에서 얻은 재료를 사용해 전통 방식으로 지어낸 명품 한옥이다.
전통 방식을 고수했다고 해서 현대인의 생활 방식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곳은 아니다. 각 객실 내에는 일반적인 호텔처럼 편리함을 느낄 수 있도록 침대 등 기본적인 가구는 갖춰져 있다.
고즈넉한 곳에 있다고 해서 즐길 거리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남원예촌은 전통적인 숙박시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한복 체험·판소리·전통놀이 등 다양한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게다가 '춘향의 도시'에서 빠질 수 없는 광한루를 걸어서 갈 수도 있다.
광한루원에서는 오는 9월 21일까지 매주 목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후 8시에 ‘하늘나라 전설 광한루 달빛 야행’도 진행한다.
관광객들은 완월정 누각 위에서 둥근 대보름달을 바라보며 판소리 한 대목을 배우고, 어둠이 짙어지면 청사초롱을 든 문화관광해설사의 안내에 따라 사랑의 다리 오작교를 지나 광한루까지 한 바퀴를 돌아볼 수 있다.
전주 한옥마을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왕의 지밀' '한옥' 자체에 흠뻑 취하고 싶다면 전주만 한 곳이 없다. 700여 채의 한옥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전통 한옥 마을이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전주 한옥 마을'은 한국의 대표 여행지 중 하나로 한옥·한지·한복·한식·한방 등 한국의 모든 스타일이 집약된 곳이다.
왕의 침소를 뜻하는 왕의 지밀 호텔은 전주의 대표 관광지인 한옥 마을과도 가깝고 주변 다른 관광지와도 접근성이 좋은 곳에 있다.
왕의 지밀은 전통 한옥의 미와 현대 편의시설이 결합한 호텔로 과거·현재·미래가 공존하는 곳이다. 전통의 아름다움과 현대의 편리함을 절묘하게 조화시킨 곳으로 한옥의 럭셔리한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여행의 피로를 풀어준다. 객실은 15개의 한옥 건물에 64개가 있고, 객실이 포함된 11개 동은 태조·세종·숙종 등 조선 왕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