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 일대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4명 이상은 가장 유리한 재테크 방식으로 '부동산'을 꼽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했고 은행권이 대출 한도 축소에 나서며 집값 잡기에 나섰으나, 상당수의 국민은 집값이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갤럽은 최근 지난 24∼26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에게 재테크 방식 선호를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가장 유리하다고 보는 재테크 방법'으로 응답자의 44%가 토지와 주택 등 부동산을 재태크 수단으로 선호한다고 답했다. 가장 왕성하게 경제 활동을 하는 30~50대에서는 두 명 중 한 명이 부동산을 효과적인 자산 증식 수단이라고 답했다.
반면 주식은 22%로 부동산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은행 적금이 11%로 뒤를 이었고, 가상화폐 4%, 펀드 3% 순이었다.
한국은행은 26일 2년 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린 0.75%로 결정했다. 대출 한도도 대폭 축소되고 있다. NH농협은행은 지난 24일부터 11월 말까지 신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전세대출 등을 전면 중단했다. 우리은행도 최근 주담대 우대금리 최대한도 및 전세대출 우대금리 항목 축소 조치를 추가했다.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에서도 대출을 옥죄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와 대출 한도에 손을 댔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수도권 집값은 수직으로 상승했다.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7월 11억5700만원으로 2019년 12월의 8억5900만원보다 34.7%(2억9800만원)나 올랐다. 서민 무주택자가 월급을 모아 아파트를 장만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한국부동산원은 8월 넷째 주 수도권 아파트 매매 가격이 일주일 전보다 0.4% 올랐다고 밝혔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집값 상승의 원인을 신축 아파트 공급 부족과 함께 풍부한 유동성에서 찾는다. 저금리로 시중에 풀린 돈은 많은데, 투자할 곳이 마땅하지 않다 보니 부동산으로 몰린다는 것이다.
금리 인상이 단행되고 대출 한도가 줄어들 경우 현재와 같은 주택 매수 열기가 다소 잠잠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금리 인상이 '영끌'로 집을 산 이들보다 취약계층이나 자영업자에게 부담이 더 가중될 것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 정부와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상하고 대출을 조이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각종 부동산 규제안을 내놨지만 먹히지 않았다. 현 정부의 의지와 부동산 시장이 반대로 가는 것이 사실"이라며 "대출 축소와 금리 인상이 발표돼도 국민의 44%가 아직도 부동산을 선호하는 재태크 수단으로 꼽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는 실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