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호출 1위 카카오모빌리티의 투기자본 매각을 두고 노동조합이 결국 단체행동을 예고하고 나섰다. 업계 상생 약속을 뒤로하고 경영 부담을 줄이기 위해 회사를 넘기는 '먹튀 경영'으로 직원과 고객을 사지로 몰았다는 주장이다. 노사는 대화를 지속할 방침이지만 양측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면서 최악의 경우 대규모 시위로 이어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서승욱 카카오 노조 지회장은 11일 서울 중구 상연재에서 열린 '카카오모빌리티 투기자본 MBK 매각 반대' 기자회견에서 "카카오는 수익만 좇아서 성장하지 않았다. 직원들은 꿈과 가치를 바라보고 참여했다"며 "카카오가 수익을 위해 사회적 책임과 브랜드 이미지까지 포기하면서 매각을 해야 하는지 (창업자 김범수에게) 질문을 던지고 싶다"고 말했다.
노조는 매각 소식이 퍼지고 약 2주일 뒤인 지난달 27일 카카오 공동체 현안을 포괄하는 CAC(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와 1차 협의를 했다. 이 자리에서 카카오는 2대 주주로 남아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방향을 설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달 4일 있었던 2차 협의는 매각 외 대안을 고민하는 것을 전제로 진행했지만 카카오는 "모빌리티 사업을 이어나갈 의지가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했다.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노조는 한 차례 연기했던 카카오 계열사 임직원 대상 서명운동을 재개하고 피켓시위에 돌입했다.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는 7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매각 보도 후 3일 만에 절반을 넘어 현재 70%가 노조에 가입했다. 사모펀드 주도의 구조조정 칼날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심화하고 있다.
서승욱 지회장은 "노조가 결집하고 있어 당장 직원 이탈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걱정할 수밖에 없다"며 "사모펀드로 넘어갔을 때 기술 기반 기업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가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수익성에 치중한 사모펀드의 경영 방식으로 모빌리티 서비스 품질은 떨어지고 신사업 투자는 관심 밖이 될 것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이와 관련해 정민정 서비스연맹 수석부위원장은 MBK파트너스가 2013년 웅진그룹으로부터 인수했다가 2018년 재매각한 코웨이 사례를 들었다.
정 수석부위원장은 "MBK는 코웨이를 인수해 운영한 6년간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연구 투자는 등한시하고 직원의 처우는 내팽개쳤다"며 "엄청난 빚으로 기업을 인수한 뒤 멀쩡한 회사를 거덜 내고 구조조정으로 노동자를 길거리로 내몰아 자신들은 먹튀하는 게 투기자본"이라고 꼬집었다.
또 "기존 무상으로 제공하던 서비스는 유상으로 전환해 수백억원의 이익을 챙겼다. 시설 투자와 품질 개선 원칙이 무너지면서 2016년에는 정수기에서 중금속인 니켈이 검출돼 고객의 생명을 위협하는 일도 있었다"고 강조했다.
MBK파트너스는 코웨이 인수 및 재매각 과정에서 1조1000억원의 투자 수익을 챙긴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카카오 노조는 대리운전노조와 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 IT위원회, 시민단체 등과 손잡고 모든 수단을 동원해 매각을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먼저 3차 노사 협의에 앞서 카카오 CAC와 카카오모빌리티 임직원이 직접 소통하는 설명회를 개최할 것을 요구했다.
당초 3차 협의도 이번 주 중에 가질 계획이었지만 사측이 이날 기자회견 후 분위기를 살핀 뒤 일정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는 게 노조의 설명이다.
MBK파트너스 등 매각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반대 투쟁과 카카오 신규 오피스가 있는 판교 광장에서 대규모 집회를 여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다만 행동에 앞서 대화로 해결책을 찾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
카카오 측은 카카오모빌리티가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해관계자 및 카카오 공동체의 성장과 사회적 책임을 고려해 (매각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