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 연합뉴스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이 광고·협찬 사실을 알리지 않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시물을 업로드해 '뒷광고 논란'이 일어난 지 2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소비자를 기만하는 SNS상 광고가 비일비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따르면 한국인터넷광고재단은 올해 2분기 석 달간 SNS 기만광고 3662건을 적발해 자진 시정(수정 또는 삭제)하도록 조처했다.
경제적 대가 여부를 표시하지 않은 사례뿐 아니라 표시 위치나 방법이 부적절해 소비자가 쉽게 알아보기 어려운 경우도 부당광고로 보고 시정하도록 했다.
재단은 경제적 이해관계를 공개하지 않은 SNS상의 부당광고 의심 사례를 모니터링해 작성자가 자진해서 시정하도록 요청하고 이행 여부를 점검하는 공정위 용역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자진 시정 건수는 네이버 블로그가 158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튜브 1092건, 인스타그램 911건, 페이스북 75건 순이었다.
지난해 2분기에는 네이버 블로그가 6078건, 이어 인스타그램이 5912건으로 총 1만1990건의 자진 시정이 이뤄졌다.
올해 같은 기간에는 네이버 블로그와 인스타그램 내 뒷광고 적발·시정 건수가 줄었지만, 유튜브에서는 늘었다. 적발된 게시물의 작성자 대부분은 유명인 또는 전업 인플루언서가 아니라 직장인, 학생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번 SNS 뒷광고는 MZ세대에게 특히 인기 있는 숏폼 콘텐츠(15∼60초 분량의 짧은 영상)에서도 다수 발견된 것으로 조사됐다.
재단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유튜브 쇼츠와 인스타그램 릴스에서 발견된 부당광고 의심 게시물은 288건에 달한다.
공정위는 SNS 뒷광고, 거짓 후기 등 '눈속임 마케팅'(다크 패턴)에 대한 감시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공정위는 지난 16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디지털 플랫폼 분야의 기만행위를 집중적으로 점검해 신유형 디지털 거래에서 발생하는 불공정피해를 차단하고 소비자 상식에 맞는 거래 질서를 확립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