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중심부인 왕푸징 인근 대형 쇼핑센터에 들어선 현대차 전시장. 연합뉴스 현대차그룹이 중국 시장에서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판매량이 해마다 줄고 있다. 점유율은 1%대로 떨어졌다. '기회의 땅'이었던 중국 자동차 시장이 '무덤'으로 전락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달 3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상반기 중국 시장 판매량이 작년보다 절반(49.8%) 가까이 감소한 9만4000대(도매 기준)에 그치면서 시장 점유율은 작년 상반기 2.0%에서 올해 상반기 1.0%로 떨어졌다. 기아 역시 27.2% 줄어든 4만5000대를 팔아 시장 점유율이 0.2%포인트 낮아진 0.5%를 기록했다.
현대차·기아는 지난 2016년만 해도 중국에서 180만여 대를 판매하며 승승장구했다. 현대차그룹 중국 법인인 북경현대와 동풍열달기아는 각각 1조1719억원, 4148억원 흑자를 냈다.
하지만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보복 조치인 한한령(한류 금지령) 여파로 판매량이 급감하기 시작해 2017년부터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에는 판매량이 약 50만대 수준으로 급감했고, 1조80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했다.
현대차그룹이 중국 시장에서 주춤한 사이 중국산 전기차는 낮은 가격을 앞세워 국내 시장을 두드리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22 상반기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산 수입차는 올 상반기 국내 시장에서 총 5112대가 팔리며 지난해 같은 기간(2269대)보다 판매량이 125.3% 급증했다. 독일(-2.9%)이나 미국(-22.6%), 일본(-25.8%) 등 주요 국가들의 판매량이 급감하는 가운데 유일하게 성장세를 기록했다.
특히 승용차의 경우 중국 지리차 산하의 전기차 전용 브랜드 폴스타를 비롯해 글로벌 브랜드의 중국 생산 모델인 IX3(BMW), S90(볼보)의 수입도 늘어나면서 전년 같은 기간보다 83.9% 늘어난 3400대를 기록했다.
이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현대차·기아는 중국 시장의 문을 지속해서 두드릴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함께 세계 자동차 시장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중국을 빼면 성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중국 자동차 시장은 1980만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기아는 올해 전동화·고급화 전략으로 중국 시장 회복을 꾀한다.
우선 현대차는 중국 전용 전기차 라페스타 신형과 수소연료전지차 넥쏘를 앞세운다. 이를 위해 연내 60억 위안(약 1조1600억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기아는 전용 전기차 EV6를 시작으로 매년 전기차 신차를 출시해 중국에서 오는 2027년까지 6종의 전용 전기차 라인업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판매량이 떨어진 상태에서 현대차그룹 중국법인이 현재는 조정을 거치는 재정립 시기라고 본다"며 "정치적 리스크가 높고, 현지 토종 브랜드의 수준이 많이 올라와 판매량을 예전만큼 끌어올리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