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시스BBQ 일본 도쿄 후타고타마가와점 매장 전경. 제너시스BBQ 제공 치킨 프랜차이즈가 글로벌 매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면서다. 한류 콘텐츠 흥행과 함께 ‘K푸드’가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해외 매장 출점에 한층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치킨 프랜차이즈 제너시스BBQ 그룹은 최근 일본 오사카부와 사이타마현에 3개 점포를 잇따라 열었다.
지난 7월 22호점인 오오미야카도마치점을 시작으로 23호점 엘모리구치점, 9월에는 24호점인 사카이뎃포쵸점을 차례로 개점하고 일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BBQ 미국 오클라호마주 1호점. 제너시스BBQ 제공 BBQ는 2016년부터 일본 내 매장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도쿄도 9개, 오사카부 5개, 나가와현 4개, 사이타마현 3개 그리고 아이치, 치바, 시즈오카현에 1개씩 현재까지 총 24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BBQ 관계자는 "일본을 포함 전 세계 57개국에 진출해 총 500개 매장을 운영 중"이라며 "전 세계 5만개 매장 오픈이 목표"라고 말했다. 교촌은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등 6개국에 7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말레이시아 2개점, 중동 두바이에 5호점까지 신규 매장을 개설했다.
교촌은 해외 사업 초기엔 대형 쇼핑몰에 플래그숍 형태로 입점하는 ‘캐주얼 다이닝형’ 모델이 주축이었으나 코로나19 이후 확장성이 높은 ‘배달·포장형’ 모델로 사업을 전환하고 있다.
교촌치킨 두바이 1호점 '데이라시티센터점' 모습. 교촌에프앤비 제공 특히 미국에서 직영사업만 해오던 교촌은 최근 하와이에 미국 첫 가맹사업장을 열었다. 교촌은 하와이를 시작으로 미국 본토까지 가맹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오는 2025년까지 25개국에 537개의 매장을 오픈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치킨 프랜차이즈 3사 중 해외 진출에 가장 소극적이었던 bhc치킨 역시 11월 말레이시아에 1호점을 열고, 내년 4월에 싱가포르 1호점도 열 계획이다.
현재 홍콩이 유일한 진출 국가였던 bhc치킨이 본격적으로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는 것이다. 특히 홍콩 시장에서는 직접 매장을 운영하는 방식을 고수했던 반면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는 마스터프랜차이즈(MF) 형태를 택했다.
bhc그룹 관계자는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해 그동안 해외 진출 시장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마스터 프랜차이즈 형태와 직접 매장을 운영하는 투 트랙 전략을 세웠다"고 설명했다.
bhc치킨 국내 매장 전경. bhc 제공 국내 치킨 브랜드들이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는 배경엔 국내시장의 정체 연관이 깊다. 400여 개의 브랜드가 국내에 난립하면서 7조5000억원 규모의 치킨 시장이 포화상태에 놓였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한국식 치킨의 인지도 상승으로 해외진출에 유리한 환경도 만들어졌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식진흥원에 따르면 외국인이 한 해 동안 가장 좋아하고 자주 먹는 한식은 '한국식 치킨'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9월 베이징과 방콕, 뉴욕, 파리 등 외국 주요 도시 17곳의 주민 8500명을 대상으로 한식 소비자 조사를 진행한 결과, 한국식 치킨(30.0%)이 김치(27.7%)나 비빔밥(27.2%), 떡볶이(18.0%), 김밥(15.5%) 등보다 더 자주 먹는 메뉴로 조사됐다.
앞서 농식품부가 지난 2020년 해외 16개 도시에서 같은 조사를 시행했을 때는 자주 먹는 한식 메뉴 1위는 김치(33.6%), 2위는 비빔밥(27.8%)이었다. 당시 한국식 치킨은 3위(26.9%)에 그쳤는데 1년 만에 김치와 비빔밥을 역전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드라마나 K-팝 등 한류의 인기가 이어지면서 한국 치킨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고물가 시대 가격 논란 비판까지 맞물리면서 해외사업에 속도를 낸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보다는 사업 확장의 의미로 보는 게 맞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