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스포츠가 2023년 신년 시리즈로 '타격은 어쩔티비(feat.김태균)'를 연재합니다. 한국 야구 역사상 최고의 타자 중 하나로 꼽히는 김태균 해설위원이 연구한 야구, 특히 타격에 대한 이론·시각을 공유합니다. 이 시리즈를 통해 타격의 재미, 나아가 야구의 깊이를 독자들이 함께하길 기대합니다. 〈편집자 주〉
솔직히 말하면 나는 잔소리 듣는 걸 싫어한다. 선수 시절 선배님이나 코치님, 감독님으로부터 “라떼는 말이야”로 시작하는 훈계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그런 내가 일간스포츠에 〈타격은 어쩔티비〉를 연재하는 이유는 ‘대화’하기 위해서다. 그 상대가 프로야구 선수일 수도 있고, 학생 선수일 수도 있겠다. 내 얘기가 사회인 야구 선수에게 도움이 될지 모른다. 야구를 즐기는 팬에게 재미를 선물한다면 그 또한 영광일 것이다.
선수 은퇴 후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다시 방망이를 잡을 기회가 있었다. 경기를 앞두고 상대 팀 20대 선수들이 나를 비롯한 은퇴 선수들에게 다가와 “선배님들 팬입니다”라고 예의 바르게 인사했다. 촬영은 훈훈한 분위기로 시작했다. 그러나 경기가 시작되자 공기가 확 달라졌다. 몇 분 전까지 공손했던 선수들이 더그아웃으로 돌아가 이렇게 소리쳤다.
“야, 못 쳐. 못 쳐. 그냥 가운데로 던져.”
타석에 서 있던 난 정말 깜짝 놀랐다. 아무리 동료들을 응원하기 위해서라지만, 다 들리도록 대선배에게 야유를 퍼붓다니. 게다가 이건 진짜 승부가 아니라 친선경기인데.
Z세대는 ‘라떼’와 다르다
후배들이 잘못했다거나 나쁘다는 말이 아니다. 눈치 보지 않고 승부에만, 자신에게만 집중하는 그들이 인상적이었다. Z세대(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걸쳐 태어난 이들)로 불리는 젊은이들은 ‘라떼’와 확실히 다르다.
선수 시절에도 비슷한 경험이 있었다. 예전에는 내가 타석에 서면 투수가 긴장하는 게 느껴졌다. 20대 선수들은 전혀 그렇지 않더라. 두려워하지 않고 공격적으로 공을 던졌다. 물론 내가 Z세대 투수들을 상대한 시기는 전성기가 지난 30대 중반이었을 때다. ‘힘 빠진 4번 타자’였기에 젊은 투수들이 자신 있게 덤벼든 측면도 있을 거다. 그래도 요즘 젊은 선수들이 과거와 다른 건 틀림없다.
어디 요즘 세대만 그럴까? 내 또래들도 선배들로부터 “너희는 우리 때와 다르다”는 말을 들었다. 시대에 따라 세대도 변하기 마련이다. 야구도 함께 변한다.
그러나 변화를 인정하지 않고 하는 잔소리는 거북하다. 물론 선배들의 경험은 정말 소중한 자산이다. 내 야구도 코치님과 감독님의 가르침 위에서 만들어졌다. 나아가 야구의 고전과도 같은 『타격의 과학(The Science of Hitting, 테드 윌리엄스)』 이나 『3할의 예술(The Art of Hitting .300, 찰리 로)』 같은 이론서도 내 타격의 뿌리가 됐다.
선배들의 지식과 지혜를 배우고 그들을 뛰어넘는 게 후배들의 몫이다. 그걸 해낸 이들이 지금 그라운드의 주인공이다. 때로는 더디고, 어쩌면 틀린 것 같아도 야구는 발전하고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활동한 시대가 다른 선수들을 비교하는 것에 난 동의하지 않는다. 선수들의 신체 조건은 계속 좋아지고 있고, 인프라도 개선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어마어마한 빅데이터가 쌓이고 있다.
심지어 같은 선수라도 20대의 타격과 30대의 타격이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아니, 달라야 한다. 타자는 매년 나이를 먹는다. 프로에서 살아남는다면 끊임없이 새로운 투수와 상대한다. 그러니 시대와 따라 변하지 않으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
물론 내 말의 동의하지 않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최근 “투수들의 기량이 떨어졌다. 볼넷이 늘어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그래도 야구는, 발전 중이다 볼넷 증가만 보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꼭 그렇진 않다. 예전 경기 영상을 보라. 최동원 선배, 선동열 선배 같은 위대한 투수는 구위뿐 아니라 커맨드도 뛰어났다. 그러나 그런 톱티어를 제외한 1980~90년대 투수들의 제구는 지금 선수들보다 낫다고 볼 수 없다.
내가 프로에 데뷔한 2001년만 해도 투수들은 패스트볼과 슬라이더(또는 체인지업)만 던졌다. 투 피치(two-pitch)로도 타자를 충분히 상대했다. 패스트볼 스피드도 시속 140㎞만 넘으면 거뜬했다.
그러나 요즘에는 투 피치만으로 타자를 당해낼 수 없다. 메이저리그(MLB)에서 뛰었던 투수들이 한국 무대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국내 선수 중에도 시속 150㎞ 안팎의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가 흔해졌다. 패스트볼도 포심만 던지는 경우는 별로 없다. 투심 패스트볼이나 컷 패스트볼도 던질 줄 알아야 살아남는다. 두세 가지 이상의 변화구를 갖춘 투수들이 대부분이다.
10여 년 전만 해도 투수들은 대부분의 공을 바깥쪽(아웃사이드 피칭)으로 던졌다. 몸쪽(인사이드 피치)으로 던지면 타자를 맞히거나 장타를 허용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사실 그때는 투수가 아웃사이드 피칭만 잘해도 충분했다. 가끔 하나씩만 안쪽으로 공을 던져도 타자의 스윙 밸런스를 흔들 수 있었다.
투수들의 기량만 발전하는 건 아니다. 타자들의 파워와 기술도 꾸준히 향상됐다. 아무리 빠른 공을 던져도 타자가 그걸 두려워하지 않으면 얻어맞는다. 그래서 투수들이 타자 몸쪽으로 더 많은 공을 던지는 것이다.
투수에게는 아웃사이드 피치보다 인사이드 피치가 더 어렵다. 몸쪽 제구는 아주 특별한 능력이다. 그러나 요즘 투수들은 커맨드가 정확하지 않아도 몸쪽으로 빠른 공을 던진다. 그래야 타자와 싸움에서 밀리지 않기 때문이다.
투수들이 불펜에서 공을 던지는 걸 본 적이 있는가? 요즘 젊은 투수들은 선배들보다 더 빠른 공을 던진다. 불펜에서는 제구도 나쁘지 않다. 다만 실전 승부에서 여러 종류의 변화구를 던지고, 더 많은 공을 몸쪽으로 던지기 때문에 4사구가 많은 것이다.
나는 2020년 한화 이글스 유니폼을 벗었다. 은퇴하기 몇 년 전부터 만만한 투수가 없다는 걸 느꼈다. 내가 나이든 탓도 있지만, 투수들이 발전한 이유도 분명 있었다. ‘라떼’ 얘기는 그래서 별로 효과적이지 않다. 지금 선수들은 20년 전, 10년 전과 다른 야구를 하기 때문이다. 선수들은 예전보다 더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푸는 것이다.
선배로서 경험과 지혜를 전해주는 건 좋지만 거기까지여야 한다. 후배들이 선배의 어깨에 올라타서 더 멀리 보길 바란다. 그래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면 좋겠다. 내가 옳다는 독선과 나처럼 하라는 오만은 후배에게 장애물이다. 그들이 각자 해법을 찾도록 작은 도움이라도 된다면 그걸로 충분하다. 타격에는 정답이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