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다음 소희’의 정주리 감독과 주연 배두나, 김시은은 영화에 대해 이야기하며 하나같이 이렇게 말했다. 소희가 대체 누구기에. 사진= 트윈플러스파트너스 제공 ‘다음 소희’는 지극히 현실적이면서도 지극히 충격적인 이야기다. 콜센터로 현장 실습에 나갔던 여고생 소희(김시은 분)가 각오했던 것보다 더 잔인한 사회생활에 내몰리면서 점차 절망하는 과정이 1부, 그리고 그의 비극을 따라가는 형사 유진(배두나 분)의 이야기가 2부처럼 구성돼 있다. 사진= 트윈플러스파트너스 제공 소희는 본래 할 말을 할 줄 아는 아이였다. 술집에서 괜히 시비를 거는 사람들에게 당당하게 쏘아붙이고, 납득되지 않는 일에는 설명을 요구하거나 욱할 줄도 아는. 하지만 아무리 이야기해도 제대로 들어주는 사람이 없다면 그 모든 외침은 결국 무력감만 안길 뿐이다. 그것은 절망과 고립의 시작이다.
개인은 홀로 시스템을 바꿀 수 없다. 마치 꽉 짜인 틀 같은 사회는 개인의 문제제기가 들어갈 틈도 없어 보일 정도로 집요하다. 때문에 사람들은 문제에서 눈을 돌리기 일쑤고, 결국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들에겐 “원래 별난 애였어”, “모난 돌이 정 맞는 법이지”라는 날카로운 말이 향한다.
‘다음 소희’는 이렇게 사회가 문제의식을 가진 한 명을 고립시켜 가는 과정을 촘촘하게 그린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이야기는 과장하는 것 없이 현실을 그려나가고, 그래서 더욱 보는 이들의 가슴을 철렁하게 한다. ‘도희야’(2014)로 날카롭고 섬세한 연출력을 보여준 정주리 감독은 이번 ‘다음 소희’에서도 특유의 섬세함으로 발을 딛고 살아가는 현실의 문제를 조목조목 짚어낸다. 사진= 트윈플러스파트너스 제공 신예 김시은은 날것 같은 존재감으로 영화 초반부를 집어삼킨다. 당차고 활기 넘치던 고등학생이 점차 꺾여가는 감정의 낙차를 표현하는 김시은의 연기는 지나칠 정도로 살아 있어 연기가 아니라 실제 상황을 보는 것 같다.
배두나는 소희가 겪은 비극적인 사건을 수사하는 형사 유진을 연기했다. 1부, 2부 형식으로 구성된 이 영화는 배두나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2부에 다다라서야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보다 밀도 있게 꺼내놓는다. 관객과 함께 소희의 이야기를 지켜보는 듯 사건을 따라가다 끝내 울부짖게 되는 유진의 심경을, 배두나는 관록이 느껴지는 연기력으로 그려낸다. 사진= 트윈플러스파트너스 제공 사진= 트윈플러스파트너스 제공 같은 공간, 다른 시간을 산 두 사람의 이야기가 교차될 때 관객들은 마침내 이 영화가 다른 누구도 아닌 우리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음을 알아채게 된다. 나만 지키면 된다는 안일함이 때로 얼마나 날카로운 흉기가 될 수 있는지. ‘다음 소희’는 어쩌면 현실 속 소희에게 눈을 돌림으로써 계속해서 ‘다음 소희’를 만들어온 사회에 대한 서늘한 경고일지 모른다. 15세 관람가. 138분. 2월 8일 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