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라는 단 두 행으로 구성된 정현종 시인의 ‘섬’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을 것이다. 그 섬은 각자가 지닌 존재론적 고독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각자의 다름을 인정하는 전제로도 볼 수 있다. 우리나라가 OECD 자살률 1위인 이유도 어찌 보면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획일화된 기준으로 타인과 자신을 평가하는 것에 있는지도 모른다.
영화 ‘가재가 노래하는 곳’(감독 올리비아 뉴먼, 2022)은 도심과 떨어진 미국 남부 노스캐롤라이나의 습지에서 살아가며, ‘습지소녀’로 불리는 주인공 카야(데이지 에드가 존스)가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의 오해와 편견에 맞서는 이야기다. 동물학자인 델리아 오언스가 지은 동명의 원작 소설은 미국에서 180주간이나 베스트셀러였다. 소설은 카야가 어렸던 1952년부터 25세의 아가씨가 된 1970년까지의 사건과 인물 중심으로 구성돼 있고, 특히 체이스(해리스 딕킨슨)의 죽음과 관련된 법적 심문과 판결까지 과정이 긴장감 있게 그려져 있다. 마지막 장에는 2000년에 사망한 카야의 삶이 ‘반딧불이’라는 제목으로 충격적으로 제시된다.
영화는 작은 마을 버클리 코브 근처 습지라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평온함을 놓치지 않고 장면화한다. 마치 영화 ‘아바타’에서 자연의 신 ‘에이와’ 같은 환상적인 나무의 모습을 담아내며 도시와 자연, 인간과 자연을 대비시킨다.
한편으로 카야의 가정 이야기와 사랑 이야기를 통해 그의 상처를 관객이 함께 느끼게 한다. 카야는 어릴 적부터 어머니와 형제들이 폭력적인 아버지 때문에 모두 집을 떠난 상황에서 자연과 함께 혼자서 살아가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된다. 아버지마저 자신을 버린 상황에서 학교에도 가봤으나, 가족 없이 살아가는 카야를 따돌리는 아이들 속에서 견디기 힘들었던 그는 세상과 단절하여 자연 속에서 배우기로 결심한다.
오빠의 친구였던 테이트(테일러 존 스미스)는 카야를 아껴주는 유일한 사람이었다. 카야에게 글을 가르쳐준 테이트는 대학생활을 위해 그곳을 떠나기 전, 카야가 뛰어난 재능을 보인 해양 습지 생태계를 그린 삽화와 글을 보낼 출판사 주소를 그의 손에 쥐어준다. 테이트가 떠난 후, 외롭게 살아가던 카야에게 체이스(해리스 딕킨슨)라는 청년이 적극적으로 다가와 탐한다. 테이트를 떠나보낸 카야는 외로움에 체이스를 받아들이고 의지하게 된다.
자연을 정밀하게 담은 카야의 삽화와 글로 그의 생태학적 재능이 세상에 알려진다. 그렇게 카야의 판잣집과 주변의 땅을 그의 이름으로 등기하는 데 필요한 돈과 생활비를 마련케 해준다.
하지만 카야를 배신한 체이스가 습지 망루에서 추락사로 죽게 되고 카야가 강력한 용의자로 지목된다. 카야의 변호사인 밀턴(데이빗 스타라탄)은 마지막 변호로 카야를 편견과 오해로 바라보지 말고 25년간 혼자 습지에서 살아왔던 소녀로 바라보라고 강조한다. 사실이 아닌 뜬 소문들로 판단하지 말고 법적인 판단을 해달라고 호소하여 결국 승소한다.
카야는 자연에서 삶을 배우며 자연과 분리되지 않는다. 어쩌면 자연 그 자체를 상징한다. 세상은 혼자 살아가는 카야에게 편견을 가지지만, 자연은 그가 살아갈 지혜와 능력을 주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에세이 ‘직업으로서의 소설가’에서 일본의 제도교육을 비판하면서 ‘개인회복 공간’의 필요성을 언급한다. 이 공간은 제도, 효율, 따돌림 같은 것에서 벗어나 개인이 느긋하게 호흡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그곳에서 개인이 자신의 눈높이에 맞는 것을 찾아내고 키워나갈 수만 있다면, 제도의 벽을 극복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카야에게 가재가 노래하는 것 같은 습지가 바로 그를 힐링시키는 유일한 공간이었던 것처럼, 사회나 가정에서 획일화된 강요가 아니라 ‘개인으로서의 삶의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정신적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요즘처럼 우울증과 자살이 많은 우리 사회의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는 한 방향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