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 이커머스 시장을 넘어 전통의 유통 강호 이마트 및 롯데쇼핑과 본격적인 경쟁을 예고했다. 지난해 최대 실적과 함께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내면서 더는 유통 대기업을 두려워하지 않는 눈치다. 김범석 쿠팡 의장은 "오프라인 중심 유통시장에서 쿠팡은 한 자릿수 점유율이다. 고객이 '와우' 할 수 있는 혁신은 이제 시작"이라면서 야심도 내비쳤다.
쿠팡 매직
쿠팡이 '돈 쓰는 쿠팡'에서 '돈 버는 쿠팡'으로 변신했다.
2일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쿠팡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26% 증가한 26조5917억원(205억8261만 달러)을 기록했다. 영업적자는 1447억원으로 전년 1조7097억원 대비 92% 감소했다. 순손실은 1189억원으로 전년 1조7653억원 대비 93% 줄었다.
가장 고무적인 부분은 두 분기 연속 흑자다. 쿠팡은 2021년 3월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한 후 매 분기 2500억~5000억원대의 영업이익 적자를 냈다. 그러나 작년 3분기 1037억원을 시작으로 4분기에도 1133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업계 안팎에서는 올해는 연간 흑자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연간 조정 에비타(EBITDA·감가상각 전 순이익)는 4925억원이었다. 조정 에비타는 영업활동만으로 벌어들인 현금 흐름을 확인할 때 쓴다. 현재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쿠팡의 흑자 전환도 사실상 가시권이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쿠팡은 올해 온라인 시장 내 24%의 점유율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연간 영업이익은 2847억원을 예상한다"고 했다.
쿠팡의 야심 쿠팡의 대구풀필먼트센터(FC) 전경. 쿠팡 제공 쿠팡의 실적 발표에 긴장하는 곳은 유통 대기업 이마트와 롯데쇼핑이다.
쿠팡 매출은 이미 지난해 이마트(할인점·트레이더스·노브랜드 등 전문점, 매출 16조9020억원)와 SSG닷컴(1조7447억원), G마켓(1조3185억원) 매출을 더한 총 19조9625억원을 넘어섰다. 또 롯데쇼핑의 지난해 매출(15조4760억원)도 10조원 이상 뛰어넘으며 '초격차'를 이뤘다.
지난해 이마트와 롯데쇼핑은 각각 6173억원과 4180억원의 영업이익을 작성했다. 만약 쿠팡이 흑자 기조를 이어나가 연간 흑자까지 낼 경우 향후 유통가 판도가 달라질 수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유통시장은 602조원 규모였다. 이 가운데 쿠팡의 매출 비중은 4.4% 수준이다.
김범석 쿠팡 의장도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는 실적 발표 직후 콘퍼런스콜에서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시장은 여전히 가격도 높고 상품도 제한적"이라며 "쿠팡의 국내 유통시장 점유율은 아직 한 자릿수에 불과하지만 더 다양한 상품과 낮은 가격, 특별한 서비스로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로켓배송이 가능한 상품을 확대해 회원 수를 늘리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긴장한 전통 강호
쿠팡을 따돌려야 하는 이마트와 롯데쇼핑은 공격적인 투자를 예고했다.
이마트는 SSG닷컴과 묶어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네오' 세 곳과, 전국 100여 곳 PP센터의 물류 체계를 고도화해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해 주력 고객인 3~4인 가구에 대한 침투율을 높여나가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1~2인 가구의 요구를 적극 반영해 차별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유료 멤버십 전략도 세웠다. 이마트는 신세계와 통합 유료 멤버십을 오는 7월 출시할 예정이다. 롯데쇼핑은 4000만 회원을 보유한 '엘포인트 멤버스'를 비롯해 각 계열사 서비스를 통합해 혜택을 확대한다.
쿠팡도 '쿠팡 없이 못 사는 한국'을 만들기 위한 투자 기조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김 의장은 "'쿠팡 없이 그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생각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통제된 투자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가치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이번 실적 발표로 쿠팡이 이제 더 이상 이마트와 롯데쇼핑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며 "확실한 우위를 점한 쿠팡이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하고 이익을 내는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이마트가 어떻게 총력전을 벌이느냐에 다소 변화가 가능하나, 쿠팡이 네이버쇼핑에 이어 '2강 체제'를 구축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