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메이커' 스틸. (사진=넷플릭스 제공)
‘더 글로리’에 이어 ‘퀸메이커’도 터졌다. 여성들의 연대가 바탕이 된 드라마들이 넷플릭스에서 연이어 좋은 반응을 얻으며 K콘텐츠의 힘을 전 세계에 보여주고 있다.
넷플릭스 시리즈 ‘퀸메이커’는 지난 14일 공개된 이후 국내 넷플릭스 1위로 직행했다. 뒤이어 세계 곳곳이 반응했다. 인도네시아,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에서도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전 세계 12개국의 톱10에 이름을 올린 것.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 ‘넷플릭스 톱10’(19일 기준)을 보면 4월 2주차인 10일에서 16일까지 ‘퀸메이커’의 시청 시간은 1587만으로 이는 전 세계 비영어권 TV 부문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이전까지 같은 차트에서 10주간 1위에 올랐던 ‘더 글로리’는 같은 주간 1290만의 시청 시간을 기록하며 3위로 내려왔다. 넷플릭스 글로벌 차트에서 한국 드라마끼리 순위 바꿈을 한 셈이다. 그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K콘텐츠가 얼마나 대단한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시켜주는 부분이다. '더 글로리' 스틸. (사진=넷플릭스 제공) ◇약자가 일으킨 반전, 여성들이 연대했다
‘더 글로리’가 기존의 복수극과 달랐던 건 ‘연대’다. ‘더 글로리’는 10대 시절 잔혹한 학교폭력에 시달렸던 문동은(송혜교)이 성인이 된 후 자신을 괴롭혔던 이들에게 복수하는 과정을 담은 드라마. 사적복수라는 논란이 있는 소재에도 불구하고 ‘더 글로리’가 그토록 시청자들로부터 뜨거운 반응을 얻을 수 있었던 건 폭력의 피해자들이 피해자에서 그치지 않고 함께 손을 잡고 연대하는 과정을 촘촘하게 그린 덕이다.
피해자들 간 연대는 단순한 복수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연대는 서로가 서로의 상처를 바라보고 공감할 때에만 가능하다. 즉 복수의 목적이 단순히 자신에게 해를 입힌 자들에게 그것을 되갚아 주는 데 그치는 게 아니고, 서로의 상처를 보듬고 위로하며 잃어버린 삶을 되찾는 형태로 나아가는 데 있는 것이다. '퀸메이커' 스틸. (사진=넷플릭스 제공) 이런 연대의 서사가 ‘퀸메이커’에서도 펼쳐졌다. 은성그룹 전략기획실 실장 황도희(김희애)는 대단한 집안 출신도, 이렇다 할 백도 없는 인물. 우연히 손영심(서이숙) 회장의 눈에 들어 측근으로 일하게 된 이후 은성그룹 오너일가를 위해 헌신해왔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도무지 묵과할 수 없는 참담한 비리를 포착하곤 은성그룹을 떠나기로 하고, 이후 손 회장으로부터 악랄한 보복을 당한다.
그런 황도희와 손을 잡는 인물은 은성그룹 계열사 은성백화점에서 부당하게 해고된 여성 노동자들을 위해 힘쓰던 변호사 오경숙(문소리)이다. 한때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고 서로를 향해 으르렁댔던 두 사람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정의를 위해 손을 잡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은성그룹 선후배 출신들과 오경숙과 연을 맺은 여성 노동자들의 연대까지 이뤄진다. '퀸메이커' 스틸. (사진=넷플릭스 제공) ◇선악의 경계에서 입체적으로 변한 여성 캐릭터
황진미 대중문화평론가는 ‘더 글로리’에 이어 ‘퀸메이커’까지 여성들의 연대 서사가 최근 크게 주목받은 이유에 대해 “젠더를 바꿈으로써 작품이 갖게 되는 신선함과 캐릭터의 입체성이 있다. 그 점이 시청자들에게 소구한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황 평론가는 “사실 여성들이 서사의 전면에 나온 것은 하루 이틀 일은 아니다. 하지만 여성이 형사, 검사, 판사 등의 포지션에 서서 남성 국가의 이미지를 여성이 가지고 온 사례가 많았던 이전과 비교해 최근 들어 여성 장르물은 보다 다채로워졌다고 보인다”며 “복수는 주인공이 폭력을 행사해도 용서가 되는 유일한 일이다. 그 복수의 서사를 여성이 하게 되면, 그 인물은 피해자이면서 가해자인 복합적인 서사를 갖게 된다. 선악의 경계에 서 있는, 굉장히 입체화된 인물이 탄생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 주로 복수 시리즈에서 주인공은 주로 남성이었다. 그 성별이 여성으로 바뀌면서 색다른 이야기가 완성된 것”이라며 “‘퀸메이커’의 경우 정치극의 모든 조연을 여성, 특히 중년 여성으로 설정했다는 것은 굉장히 도전적인 일”이라고 덧붙였다. '퀸메이커' 스틸. (사진=넷플릭스 제공) 황진미 평론가는 ‘퀸메이커’ 이후 앞으로 여성 작품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단순히 젠더를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만듦새의 측면에서 더 고민해야 할 것 같다. 단순히 등장인물만 여성으로 바꾸는 방식이 아니라 구조와 인간관계 전체를 바꾸려는 고민이 필요하다. ‘퀸메이커’ 같은 정치극의 경우 ‘추구해야 하는 여성 정치란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