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C 음주파문' 김광현, 상벌위원회 출석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기간에 음주해 논란을 빚은 김광현(SSG 랜더스)이 7일 서울 강남구 도곡동 야구회관에서 열린 상벌위원회 출석을 위해 건물로 들어서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3.6.7 dwise@yna.co.kr/2023-06-07 10:58:04/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국제대회 기간 술자리를 가진 사실이 드러나 논란을 초래한 선수들이 징계를 받았다. 후폭풍은 이어질 전망이다.
KBO(한국야구위원회)는 7일 야구회관 중회의실에서 월드베이스볼클래식(3월 8~12일) 대회 기간 음주를 한 것으로 알려진 김광현(SSG 랜더스) 이용찬(NC 다이노스) 정철원(두산 베어스)을 대상으로 상벌위원회를 개최했다.
숙의를 거친 상벌위원회는 KBO 규약 제151조 ‘품위손상행위’에 근거해 대회 기간 두 차례 유흥주점을 방문해 국가대표 품위를 손상시킨 김광현에게 사회봉사 80시간과 제재금 500만원, 한차례 출입한 이용찬과 정철원에게 사회봉사 40시간과 제재금 300만원 징계를 결정했다.
KBO 조사위원회는 해당 선수들에게 경위서 제출을 요청하고 개별 대면 조사를 했다. 특정된 해당 도쿄 소재 유흥주점 업소 관리자에게도 유선상으로 출입 입시와 계산 여부, 종업원 동석에 대해 물었다. 해당 선수들의 동선 파악을 위해 신용카드 사용 내역 제출도 요구했다.
그 결과 김광현은 대표팀이 평가전을 치른 오사카에서 대회 개최지 도쿄로 이동한 7일 그리고 일본전 종료 직후인 11일 두 차례 해당 장소에 출입했다. 정철원은 11일 한 차례, 이용찬은 이들과 따로 출입했다.
징계 수위를 두고 벌써 말이 많다. 예상된 반응이다. 처음부터 품위손상행위 외 다른 규약을 적용할 게 없었다. 논란이 야기한 파급은 컸지만, 출장정지 같은 징계가 나오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출장정지 징계가 나오지 않았으니,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된 세 선수의 복귀 시점도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미 SSG는 선수의 생각을 들어보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딱 열흘만 채우고 복귀해도 비난의 목소리가 나올 수 있다. 당장 사회봉사를 채워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조사위원회는 이날 선수들의 소명한 내용과 다르지 않은 내용을 조사 결과로 보고했다. 그게 사실이라는 얘기다.
최초로 이 내용을 전한 유튜브 채널 내용과 차이가 크다. 이렇게 되면 선수들은 품위손상행위와는 별개로 자신이 하지 않은 행위를 했다고 오해 받은 것이다. 해당 채널은 업소 관리자들의 말을 빌려 해당 선수들이 대회 호주전(9일)과 그 전날(8일)에도 출입했다고 폭로했고, 여성 종업원 동석도 있었던 것처럼 둘러 얘기했다.
여전히 석연치 않은 점도 많고, 다음 행보를 결단하기 애매한 점도 많다. 이날 징계가 발표됐지만, 이번 음주 논란은 아직 끝나지 않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