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 이미지
부상 복귀 후 호투를 이어가는 류현진(토론토 블루제이스)을 보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지난해 6월 팔꿈치 수술 후 1년 2개월 만에 복귀해 4경기에서 2승 1패 평균자책점 1.89로 건재함을 과시하고 있다. 마치 타자의 머릿속에 들어갔다가 나온 듯한 느낌을 준다.
류현진의 투구는 아마추어 선수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최근 시속 150㎞ 이상의 빠른 공을 던지는 고교 투수가 늘어났다. 이와 함께 해외 진출 선수 역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고교 졸업 후 미국 무대에 도전장을 내민 선수 중 빅리그까지 올라가는 투수는 거의 없다. 빠른 공이 강점이었던 박찬호도 한양대 재학 시절 경기 운영 등을 배워 한국인 1호 메이저리거로 발돋움했다. 김병현·서재응·김선우도 대학을 중퇴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꿈의 무대를 밟았다. 그 외 고교 무대에서 미국으로 직행한 유망주 대부분은 마이너리그를 전전하다가 돌아왔다. 투수에겐 경기 운영 능력도 뒷받침돼야 하는데, 오로지 구속에만 중점을 두고 섣불리 도전하니 성공 확률이 떨어진다. 사진=게티 이미지
류현진을 보면 빅리그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무엇이 중요한지 알 수 있다.
가장 최근 등판이었던 지난 21일 신시내티 레즈전에서 류현진의 최고 구속은 시속 144㎞에 불과했다. 반면 상대 선발 투수였던 헌터 그린은 최고 시속 161㎞의 강속구를 자랑했다.
구속과 성적은 정반대였다. 류현진이 5이닝 4피안타 7탈삼진 2실점(0자책)으로 압승을 거뒀다. 그린은 3이닝 10피안타(5홈런) 3볼넷 9실점으로 크게 무너졌다. 사진=IS 포토
필자가 한화 이글스 지휘봉을 잡고 있던 2006년, 신인 투수였던 류현진도 빠른 공을 던졌다. 당시 포심 패스트볼 구속이 151~153㎞까지 나왔다. 그러나 나이가 들고, 어깨 및 팔꿈치 수술 등 부상 여파로 구속이 감소했다. 2006년 입단 당시 포심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커브 등 3가지 구종 정도만 던지던 류현진은 한화에서 체인지업과 컷 패스트볼을 습득, 야구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시간이 흘러 스피드가 감소해도, 시속 160㎞ 강속구 투수가 넘쳐나는 빅리그에서 생존할 수 있는 원동력이다.
좌우 코너워크를 활용한 제구력이 류현진의 강점이다. 또 상대 타자와의 심리 싸움 역시 돋보인다. 젊은 선수들이 본받아야 한다.
요즘 미국에선 투수가 20~30개씩 투구하고 10~20분 휴식하는 훈련을 반복한다. 실전과 마찬가지로 연습하는 것이다. 과거 한국 야구에서도 마찬가지로 훈련한 적 있다. 류현진처럼 제구력을 갖춘 투수라면 실전과 유사한 이런 훈련이 필요해 보인다. 반면 제구력이 다소 부족한 투수라면 일주일에 2회, 한 번에 최대 150개씩 던지는 것도 필요하다. 많이 던지면서 제구 안정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사진=게티 이미지
시즌이 끝나면 류현진은 필자와 최소 한두 번 식사를 한다. 지난겨울에도 함께 밥을 먹은 뒤 곧바로 보강 훈련을 하러 이동하더라. 매년 식사 후 스케줄은 '훈련'이었다. 프로 선수로서 이러한 노력과 집념이 지금의 류현진을 만들었다. 이런 정신력도 아마추어 선수에게 좋은 교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