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매력은 작품 안에서 이야기가 끝나지 않고 확장된다는 점 아닐까요. 좋은 영화 한 편이 촉발한 감상과 의미를 다른 분야의 예술과 접목해 풀어보고자 합니다. ‘환승연예’는 영화, 음악, 도서, 미술 등 대중예술의 여러 분야를 경계 없이 넘나들며 이야기하는 코너입니다.
여름철 극장을 찾은 ‘한국영화 빅4’라고 불린 작품들이 있다. ‘더 문’, ‘밀수’, ‘비공식작전’,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그 주인공. 여기서 1970년대라는 시대적 배경과 장르적 재미에 충실한 ‘밀수’를 제외하면, 나머지 세 편은 하나의 공통된 소재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인간의 선의다.
‘선의’를 기준으로 작품을 재배열하자면, ‘더 문’과 ‘비공식작전’은 그러한 선의가 발현됨으로써 갈등이 해결되는 구조이고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선의가 발현되지 않은 점이 갈등으로 작용한다. 선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은 ‘콘트리트 유토피아’조차 그 탓에 갈등이 발발하므로, 결론적으로 세 편의 영화 모두 다 ‘선의’를 실현돼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다만 이 세 영화 가운데 박스오피스에서 그마나 손익분기점에 가까운 영화가 ‘콘크리트 유토피아’라는 점에서 다소 쓴맛이 남는 건 사실이다.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잘돼서 입이 쓰다는 게 아니라, 다른 두 영화가 너무 철저히 외면 받은 점이 아쉽다는 뜻이다. 누군가가 타인에게 베푸는 ‘무조건적인 선의’가 개연성이 없는 것, 혹은 신파로 취급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염려다.
‘더 문’은 달의 뒷면에 고립된 대한민국 우주대원 선우(도경수)와 그를 구하려는 이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우주센터에서 선우를 구하기 위해 백방으로 힘쓰지만 쉽지 않고, 결국 전임 센터장인 김재국(설경구)은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일하는 전 아내 윤문영(김희애)에게 도움을 청한다. ‘더 문’에서 설정된 달은 여러 나라들이 깃발을 꽂기 위해 달려드는 공간. 미국의 도움이 쉽지 않은 상태에서 문영이 달 기지에 있는 세계 각국의 우주대원들에게 호소하는 장면은 ‘더 문’의 클라이맥스다. 문영은 얼굴도 한 번 보지 못 한 선우를 구하기 위해 NASA 유인 달 궤도선 메인 디렉터라는 자신의 자리까지 건다.
‘비공식작전’ 역시 이런 무조건적인 선의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작품이다. 영화에서 5년째 중동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외교관 민준(하정우)은 미국으로 발령받고 싶다는 욕심에 20개월 전 레바논에서 실종된 동료 외교관을 찾으러 나선다.
생각보다 쉽지 않은 현지에서 그는 인생의 단맛 쓴맛을 다 본 한국인 택시 기사 판수(주지훈)와 만난다. 민준을 도우려면 자신의 목숨도 위험할지 모른다는 걸 직감한 판수. 그는 민준이 협상용으로 가져온 돈을 들고 도망쳤다가 결국 돌아온다. “그게 어떤 돈이라고 훔쳐 왔냐”는 연인의 말을 듣고서다.
이때부터 민준과 판수의 사이에서는 조건이 사라진다. 무엇을 조건으로 내걸고 서로에게 이득을 취하는 게 아니라, 함께 어려움을 극복할 동료로 서로를 인식하기 시작한다. 민준이 자신의 목숨을 걸고 마지막에 판수를 한국으로 보내는 장면은 인간이 극적인 상황에서도 얼마나 타인을 위해 헌신할 수 있는가를 보여줘 뭉클하다.
최근 잔혹함을 무기로 내건 장르물들이 극장가는 물론 OTT에서도 득세하면서, 무조건적인 선의를 베푸는 인물을 좀처럼 찾기 어려워졌다.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서는 남을 배신하는 게 자연스럽고, 마치 자신의 생존을 위해 타인을 희생시키는 게 자연의 섭리라는 식의 태도가 각종 콘텐츠를 통해 널리 실려 나갔다.
여름철 텐트폴 영화로 관객들과 만난 ‘더 문’, ‘비공식작전’,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그래서 더 반갑다. 때로는 자신의 생존보다 중요하게 느껴지는 무언가가 생기기도 하는 법이다. 전 세계가 그토록 열광해온 히어로물 역시 그러한 대전제가 없다면 성립될 수 없다. 이 세 작품들은 인간은 공동체를 기반으로 진화해왔으며, 우리가 타인에게 베푸는 조건 없는 선의는 그 자체로 개연성 있는 행동이라는 점을 다시금 떠올리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