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미디 99%에 로맨스 1%를 담은 코맨스(코미디+로맨스) 영화가 탄생했다. 배우 강하늘, 정소민이 큰 웃음을 안기러 추석 극장가를 찾아온다.
영화 ‘30일’ 시사회 및 간담회가 18일 오후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렸다. 배우 강하늘, 정소민, 조민수, 김선영, 황세인, 윤경호, 송해나, 엄지윤, 남대중 감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30일’은 서로의 찌질함과 똘기를 견디다 못해 마침내 남남이 되기 직전 동반기억상실증에 걸려버린 정열(강하늘)과 나라(정소민)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 ‘위대한 소원’, ‘기방도령’을 연출한 남대중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남대중 감독은 “올해 2월에 크랭크업하고 빠른 시일 내 개봉할 수 있게 돼서 영광스럽고 감사드린다. 영화를 500번 이상 본 같은데 그전에 봤던 것보다 즐겁게 봤던 것 같다”고 말했다.
‘30일’에는 개성이 넘치는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이에 대해서는 “특정 배우가 코미디를 담당하는 건 지양하려고 했다. 동반기억상실 소재니만큼 상황 안에서 벌어지는 코미디를 중점적으로 연출하려고 했다”며 “배우 한명 한명의 캐릭터성을 잘 살리면서 코미디를 만들 수 있는 배우들을 떠올렸다. 각자의 존재감을 뽐내면서 완성 시켜주셔서 감사하다”고 이야기했다.
강하늘은 지성과 외모는 갖췄지만, 지질한 매력의 노정열을 연기했다. 앞서 ‘스물’, ‘청년경찰’, ‘동백꽃 필 무렵’에서 코믹한 모습으로 웃음을 안겼던 그가 이번엔 또 다른 모습으로 웃음을 안긴다.
강하늘은 “기분 좋게 읽은 대본이다. ‘이 대본 참 재밌겠다’는 생각으로 참여했는데 현장에서 더 재밌었다. 편집된 화면은 현장보다 더 재밌더라. 대본보다 더 잘 나온 작품이 맞는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능력과 커리어, 똘기까지 타고난 홍나라 역은 정소민이 맡았다. 정소민은 “나라 캐릭터를 연기하면서 재밌었다. 평소에 조심스럽고 필터링이 많은 성격이다. 나라가 필터가 없고 거침없는 스타일이지 않나. 약간의 카타르시스를 느끼면서 재밌게 촬영했다”고 말했다.
노정열과 홍나라는 완벽히 남남이 되기 30일 전, 동반기억상실에 걸린다. 기억을 잃기 전후 차이를 어떻게 연기했냐고 묻자 강하늘은 “대본과 감독님이 시키는 대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기억을 잃어본 적이 없어서 그 감정을 잘 모르지만, 나라와는 시작부터 익숙한 관계로 나온다. ‘이 둘이 처음 만났을 때는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연기했다. 그러다보니 기억을 잃기 전후가 그려지더라”라고 말했다.
정소민은 남대중 감독의 팬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정소민은 “대본을 처음 받았을 때 안 끊고 봤던 기억이 난다. 현장에서는 그보다 좋은 아이디어들이 모여서 좀 더 재밌는 장면들이 만들어졌다”며 “그것들이 어떻게 영화로 편집이 됐을지 궁금하다. 영화로 빨리 보고 싶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노정열의 엄마 숙정 역은 김선영이, 친구 기배 역은 윤경호가 연기했다. 김선영은 “시나리오도 굉장히 재밌었는데, 영화로 보니 속도감이 빠르더라. 연기가 더해지니 더 재밌었다”고 말했다. 윤경호은 “내가 나온 부분은 쑥스럽더라. 다른 분들 연기할 때는 유쾌하게 봤다”며 “감독님 특유의 천진난만하면서 엉뚱한 발상을 좋아하는데 ‘30일’에도 엉뚱함이 있어서 좋았다. 영화는 시나리오보다 더 잘 나온 것 같아 기분이 좋다”고 만족감을 표했다.
‘마녀’, 드라마 ‘방법’ 등 매번 강렬한 존재감을 전한 조민수는 첫 코믹 연기에 도전했다. 조민수가 맡은 보배는 누구보다 딸 나라를 위하는 캐릭터. 그간 보여준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과는 전혀 다른 반전 매력을 선보인다.
조민수는 “그동안 연기로 밥 먹고 살았는데 이렇게 행복했던 현장이 없었다. 현장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남대중 감독님, 강하늘을 보면서 배웠다. 또 하나 기억에 남는 작품으로 남을 것 같다”고 남다른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