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업체들이 요금 인상·계정 공유 행렬에 동참하고 있다. 오리지널 콘텐츠에 막대한 자금을 쏟은 여파가 이용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 팍팍한 주머니 사정에 드라마도 마음 놓고 못 보는 시대가 왔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디즈니 플러스는 서비스 이용 약관에 계정 공유와 관련해 "구독 멤버십을 가구 외에 공유해서는 안 된다"며 "특정 멤버십 유형에 따라 추가적인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
가구는 주된 개인 거주지에 연동된 기기의 모음으로 정의했다. 가족이라도 떨어져 살면 따로 가입해야 한다는 의미다.
디즈니 플러스는 다음 달 1일부터 해당 정책을 미국과 캐나다에서 시행한다. 우리나라 이용자들에게도 안내 메일을 보냈는데, 내년 중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후발주자인 디즈니 플러스는 '마블'이라는 강력한 IP(지식재산권)의 효과를 보지 못하고 DTC(소비자직접신청) 부문에서만 100억 달러(약 13조5000억원) 규모의 손실을 봤다.
그러다 최근 인기 웹툰을 원작으로 한 한국형 히어로물 '무빙'이 흥행하면서 모처럼 웃었다.
하지만 K콘텐츠의 성공이 반갑게만 다가오지는 않았다. 곧바로 요금 인상 소식이 들려온 것이다.
디즈니 플러스는 내달 국내에서 단일로 운영하던 요금제를 '디즈니 플러스 스탠다드'(월 9900원·연 9만9900원)와 '디즈니 플러스 프리미엄'(월 1만3900원·연 13만9000원)으로 나눈다.
11월 1일 이전 가입자는 스탠다드 요금으로 프리미엄 상품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후에 구독하면 새로운 정책을 따라야 한다.
스탠다드는 광고는 없지만 프리미엄과 비교해 동시 스트리밍 기기가 2대 적고 화질도 풀HD로 제한적이라 사실상 요금을 올린 것이나 다름없다는 비판이 나온다.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OTT 사업자의 일방적인 약관 변경과 그 과정에서 불충분한 정보 고지로 소비자 피해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대 OTT 넷플릭스는 한국 시장 진출 5년 만인 지난 2021년 요금을 10%대로 기습 인상한 것이 마지막이다.
계정 공유 단속도 아직 적극적으로 시행하지는 않고 있다. 대신 저렴한 광고형 요금제(월 5500원)를 선보였다.
2년간 조용한 넷플릭스이지만 이달 미국과 영국, 프랑스의 일부 요금제 가격을 상향 조정한다고 발표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는 지난해 창사 11년 만에 첫 가입자 감소라는 충격을 받은 넷플릭스가 수익 다변화 노력으로 재미를 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해 3분기 전 세계 가입자 수가 876만명 증가한 2억4715만명으로 3년여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애플 TV 플러스까지 가세했다.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등 일부 시장에서 서비스 요금을 올린다고 밝혔다.
월 요금은 6.99달러에서 9.99달러로, 연간 구독료는 69달러에서 99달러로 인상했다. 한국도 조만간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이처럼 고물가 시대 주요 OTT들의 요금 인상 레이스는 생존이 달린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수년간 저렴한 요금에 서비스를 제공해온 대다수의 OTT 업체들이 재정적인 압박을 극복하고 수익성을 확대하는 쪽으로 전략을 선회하고 있다"며 "국내의 경우 콘텐츠 자체보다 서비스 회사의 계열사 부가서비스 등과의 패키지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