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의지. 사진=두산 베어스 제공 KBO리그 한 시즌 대미를 장식하는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역사에 도전하는 이들이 있다.
두산 베어스 양의지는 지난 29일 한국야구위원회(KBO)가 발표한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후보에 포함됐다. 양의지가 올해 개인 9번째 골든글러브를 차지하면 이승엽(10회, 두산 베어스 감독)에 이어 역대 최다 수상 단독 2위로 올라설 수 있다.
또한 그는 김동수(7회)를 밀어내고 포수 골든글러브 최다 8회 수상까지 기록하게 된다. 양의지는 2021년 지명타자 골든글러브를 수상했고, 나머지 7회는 포수 부문에서 차지했다. 2023 KBO 시상식이 27일 오후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다. 두산 양의지가 포수 부문 수비상을 수상하고 소감을 말하고 있다. 김민규 기자 양의지는 포수 후보 중 유일하게 올 시즌 3할대 타율(0.305)을 기록했고, 장타율도 0.474(17홈런)로 가장 높다. 올해 신설된 수비상에서 포수 부문 초대 수상자였던 양의지는 도루저지율(0.378) 역시 압도적으로 높다.
양의지의 경쟁자는 LG 트윈스의 우승 포수 박동원(타율 0.249 20홈런 75타점), 골든글러브 통산 6회 수상자 삼성 라이온즈 강민호(타율 0.290 16홈런 77타점) 등이다.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27일 오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3 신한은행 SOL KBO 시상식에서 KBO리그 KBO리그 KBO리그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된 NC 투수 페디가 기념 촬영하고 있다. 수상이 확실시 되는 에릭 페디(NC 다이노스)는 득표율이 관심이다. 다승(20승 6패), 탈삼진(209개), 평균자책점(2.00)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한 그는 정규시즌 MVP(최우수선수)를 차지한 터라 골든글러브 수상도 유력하다. MVP 득표율은 91.9%로 역대 외국인 선수 MVP 8명 중 가장 높았다. 골든글러브 역대 최고 득표율은 2020년 양의지가 기록한 99.4%(342표 중 340)로, 페다가 이를 넘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LG 오스틴이 2023 한국시리즈 kt위즈와의 경기에서 타격을 하고 있다. 잠실=김민규 기자 오스틴 딘은 LG 외국인 선수 최초로 골든글러브 수상에 도전한다. 또한 LG 1루수로는 1994년 서용빈 이후 29년 만의 도전이다. LG는 역대 1루수 골든글러브를 딱 두 번 배출했는데,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1990년(김상훈)과 서용빈이었다.
올해 1루수 후보는 오스틴 딘을 포함해 박병호(KT 위즈) 양석환(두산) 등 3명뿐이다. 오스틴 딘은 후보 중에 타율(0.313)-홈런(23개)-타점(95개)-출루율(0.376)-장타율(0.517) 등 타격 부문 성적이 가장 좋다. 2023 KBO 시상식이 27일 오후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다. 한화 노시환이 KBO 타점, 홈런상을 수상하고 소감을 말하고 있다. 김민규 기자 노시환은 개인 첫 황금장갑과 함께 한화 3수루로는 17년 만의 수상에 도전한다. 한화 3루수의 골든글러브 수상은 2006년 이범호가 마지막이다. 노시환은 올해 리그 홈런(31개)-타점왕(31개)을 차지했다. 통산 8차례 골든글러브를 품에 안은 장타율 1위(0.548) 최정이 가장 강력한 경쟁자다.
SSG 기예르모 에레디아 역시 오스틴 딘과 마찬가지로 소속 구단 외국인 선수로는 최초의 골든글러브 수상에 도전한다. 에레디아는 타율 5위(0.323) 장타율(0.461)과 출루율(0.385) 각각 11위를 기록했다. LG 홍창기, 삼성 구자욱, NC 박건우 등과 경쟁할 거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