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의 한 가정에서 AI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습.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자사 인공지능(AI) 스피커 기반 기억 훈련 프로그램 '두뇌톡톡'이 노인 치매 이환율을 낮춘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지난 2021년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부여군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 사회성과보상(SIB) 사업을 진행했다. 치매 고위험군인 경도인지장애자를 대상으로 인지 치료와 두뇌톡톡 서비스 등을 제공했다.
경도인지장애는 동일한 연령대에 비해 기억력이나 기타 인지 기능 중 한 가지 영역 이상에서 저하가 있지만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돼 아직은 치매가 아닌 상태의 장애를 의미한다.
사업 평가 기관인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에 따르면, 2년의 사업 기간 동안 경도인지장애 노인 30명 중 약 1명만 치매가 진행됐다.
조사 대상의 치매 이환율은 3.24%로 집계됐다. 치매 이환율은 경도인지장애 단계였다가 치매를 확진 받은 비율이다.
이는 연간 치매 이환율이 약 15%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현저하게 낮은 수치라는 설명이다.
SK텔레콤은 두뇌톡톡 기반 사회성과보상 사업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지자체가 인적·물적 부담을 덜고 노령화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방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회성과보상사업은 복지·보건·교육·고용·주거·문화·환경 등 공공사업에 대한 초기 사업비를 민간 투자로 충당하고, 목표가 달성되면 약정 기준에 따라 정부나 지자체가 예산을 집행하는 방식이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사회적 난제로 떠오른 치매를 개선하기 위해 부여군민이 참여해 AI 기반 인지 능력 강화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성과"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