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게임 방송 플랫폼 트위치가 한국 사업 철수를 선언하면서 남긴 한 마디에 통신 업계가 발칵 뒤집혔다. 댄 클랜시 트위치 CEO(최고경영자)는 "망 사용료가 다른 시장에 비해 10배 정도 더 비싸다"고 하소연했고, 스트리머와 시청자들은 일제히 "통신사가 돈에 눈이 멀었다"고 입을 모았다.
내년 2월 크리에이터 수익 창출 창구가 막히게 되면서 670만명에 달하는 국내 이용자들이 난민 신세가 됐다. 추억이 담긴 온라인 놀이터가 사라지자 자연스럽게 원망의 화살은 통신 3사에 집중됐다.
지난해 연간 매출이 20억원이 조금 넘는 트위치 코리아가 500억원 수준의 망 사용료를 납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난의 목소리는 더욱 커졌다. 망 사용료를 두둔하는 기자는 "얼마나 받았냐"는 비아냥을 피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유럽에서도 망 사용료는 뜨거운 감자다. 영상 콘텐츠가 대세로 떠오르면서 통신 인프라 유지와 미래 투자 비용이 급격히 올라 통신사들이 구글과 넷플릭스 등 글로벌 CP(콘텐츠 공급사)에게 정당한 대가를 요구하고 있다.
당연히 CP는 서비스 운영 부담을 줄이고 싶고, 통신사는 바뀌는 콘텐츠 소비 트렌드에 맞는 비용을 청구할 수밖에 없다.
대다수의 플랫폼 이용자들이 트위치를 감싸고도는 상황에서 아프리카TV 창업자인 서수길 CBO(최고BJ책임자)가 작심 발언을 했다.
수익을 내지 못해 물러나는 것을 왜 망 사용료 핑계를 대냐는 취지였다. 1인 미디어 업계의 선구자답지 않은 비속어 섞인 가벼운 언행은 아쉽지만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아프리카TV는 비용 절감을 위한 시스템을 서비스 초기에 구축했다. P2P처럼 중앙 서버가 아닌 이용자끼리 콘텐츠를 주고받는 '그리드 전송 기술'로 900억원 수준의 망 사용료를 150억원 수준으로 낮췄다.
트위치도 비슷한 시도를 했지만 재미를 보지 못했다. 트위치에 한때 몸담았던 한 관계자는 "글로벌 플랫폼인 만큼 이용자에게 트래픽 부담을 전가하는 결정을 내리는 것이 결코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세입자들 입장에서는 월세를 많이 받아 가는 건물주가 미워 보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손가락질을 하자니 투명하게 청구서를 공개하는 곳도, 정확히 비교할 만한 대상도 없다.
이럴 때 오히려 통신사가 먼저 팔을 걷어붙여보면 어떨까. 전 세계 CP와 통신사들에게 망 사용료 갈등 해법을 선제적으로 던져보는 것이다. 세계 최초 타이틀로 5G 국제 표준 수립을 주도하는 지금의 모습을 보면 불가능한 이야기도 아니다.
최종 고객을 바라보는 통신사의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인프라부터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엔드투엔트' 사업자를 지향한다면, B2B(기업 간 거래) 관점에 머무르지 말고 마지막에 콘텐츠를 접하는 고객도 살펴봐야 한다.
작년 말처럼 비용 절감을 이유로 화질을 낮춘 트위치에 협회 차원의 유감을 표할 게 아니라 직접 얼굴을 맞대고 대책을 고민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