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의 무대 메이저리그(MLB)에서 아시아 선수 최초로 골드글러브(내셔널리그 유틸리티 부문)를 수상한 김하성(28·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은 한국야구부터 떠올렸다. 그는 “(골드글러브 수상으로) MLB에 한국야구를 알리게 돼 기쁘다. 한국야구를 더욱 빛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국인 메이저리거로서 막중한 책임감이 묻어나는 소감이었다.
김하성은 연말 국내 시상식에서도 한국야구를 유독 많이 언급했다. “후배들이 MLB에 더 많이 도전했으면 좋겠다”라면서 “한국에도 재능 있는 어린 선수들이 많다.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세계 무대에서 한국야구를 널리 알려줬으면 한다”라고 당부했다.
김하성이 한국야구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하는 까닭은 뭘까. 그는 “2023년은 정말 많은 것을 느꼈던 해였다”라고 말했다. 누구보다 치열하게 세계 무대에 도전한 그는 한국야구의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맛본 한 해였다고 전했다.
지난 3월 열린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한국야구는 세계의 높은 벽을 실감했다. 김하성과 토미 에드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 메이저리거들이 합류한 한국 대표팀은 첫 경기 호주전 충격패(7-8)에 이어 일본전 대패(4-13)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반면 일본은 압도적인 실력을 자랑하더니 결승전에서 세계 최강 미국마저 격파하며 우승했다.
일본의 WBC 우승은 김하성에게 큰 자극제가 됐다. 김하성은 “(일본의 우승으로) 아시아 국가도 세계 1위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봤다. 다음에는 우리(한국)가 그 자리에 섰으면 좋겠다”라면서도 “이번 대회를 통해 (일본야구와) 차이를 확연히 느꼈다. 한국야구가 더 노력해야 한다는 걸 뼈저리게 느꼈다”라고 돌아봤다.
일본의 간판스타 오타니 쇼헤이(LA 다저스)는 WBC 결승전을 앞두고 “오늘은 저들(미국 대표팀)을 동경하지 맙시다”라고 강조했다. 그의 말처럼 일본 선수들은 마이크 트라웃(LA 에인절스) 무키 베츠(LA 다저스) 등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포진한 미국을 상대로도 주눅 들지 않고 싸웠다. 김하성은 그게 부러웠다. 이미 오타니와 다르빗슈 유(샌디에이고) 등 일본의 주축 선수들은 MLB 활동 경험이 많은 터라 결승전에서도 주눅들지 않고 플레이를 할 수 있었다.
빅리그에 많은 일본인 선수가 진출한 것도 부러웠다. 이에 김하성은 “어쩔 수 없다”라고 고개를 내저었다. 그는 “일본과 우리는 인프라부터 차이가 크게 난다. 내가 고등학생일 때 한국엔 고교 야구팀이 53개(2023년 98개) 있었다. 하지만 일본 고교 야구팀은 3000개(2022년 일본고교야구연맹 기준 3857개)가 넘는다. 100개도 안 되는 팀에서 뽑는 선수들과 3000개가 넘는 팀에서 뽑는 선수들의 수준 차이는 클 수밖에 없다”라고 씁쓸해했다.
그럴수록 한국 선수들이 더 많이 해외에 진출해야 한다고 김하성은 강조했다. 수준 높은 리그를 경험하면서 부딪쳐 봐야 성장한다는 것을 WBC를 통해 다시 한번 체감했기 때문이다. 이에 김하성은 후배 선수들의 빅리그 도전을 독려하는 한편, 자신도 빅리그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치며 후배들에게 길을 열어줘야겠다고 결심했다.
한국 선수들도 꾸준히 MLB에 진출해 ‘한국인 메이저리거’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1990년대 박찬호를 시작으로 2000년대 추신수, 류현진, 김하성, 이정후(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까지 그 계보를 이어왔다. 이정후는 올겨울 포스팅(비공개 경쟁 입찰)을 통해 MLB에 진출한 한국인 선수 중 역대 최고 대우(6년 1억1300만 달러)를 받았다.
이정후가 ‘대박 계약’을 맺은 배경엔 김하성의 ‘선배 역할’을 빼놓을 수 없다. 올 시즌 김하성은 수비력만 인정받은 게 아니다. 공격에서도 타율 0.260, 140안타, 17홈런, 38도루, 68타점, 80득점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공격 지표도 눈에 띈 덕분에 실버슬러거 내셔널리그 유틸리티 플레이어 부문 최종 후보에도 올랐다. 김하성이 공격과 수비 모두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친 덕분에 이정후 등 KBO리그 출신 선수들의 가치도 덩달아 올라갔다는 평가다.
김하성은 “내가 MLB에 안착할 수 있었던 건 박찬호 선배를 비롯해 추신수, 류현진 등 선배들이 길을 열어준 덕분이다. 나도 후배들에게 길을 열어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러려면 더 열심히, 잘해야 한다”라고 힘줘 말했다. 이어 “KBO리그에도 좋은 선수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후배들이 더 많이 (MLB에) 도전했으면 좋겠다”라며 재차 강조했다.
성공적인 2023년을 보낸 김하성은 아직 배고프다. 2024시즌을 마치면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기에 새해 각오도 남다르다. “난 아직 완성되지 않은 선수다. 더 노력해야 한다”는 그는 “올해보다 한 단계 성장한 시즌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할 계획이다. 우리 팀(샌디에이고)은 월드시리즈 우승을 목표로 하는 팀이다. 11월까지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해야 한다. 체력을 더 키워서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라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