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파묘’ 장재현 감독/사진=쇼박스 제공 ‘파묘’가 개봉해 950만 명을 동원하기까지 단 28일. 개봉 한 달도 되지 않은 시점에 천만 관객 돌파를 목전에 둔 ‘파묘’에 장재현 감독은 얼떨떨함과 뿌듯함을 감추지 못했다.
장재현 감독은 21일 서울시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파묘’가 사랑받는 비결부터 영화를 둘러싼 이슈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날 장재현 감독은 “얼떨떨하다. 영화가 많은 사랑을 받다 보니 부담감도 있고 어벙벙하기도 하다. ‘더 잘 만들걸’이라는 생각도 든다”며 “영화를 만들 때 큰 흥행을 생각하지 않았다. 마니아 영화라고 생각하고 만들었는데 흥행하니 실감이 안 난다”고 털어놨다.
사진=쇼박스 제공 지난달 22일 개봉한 ‘파묘’는 거액의 돈을 받고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 장의사, 무속인들에게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담은 작품이다. 장재현 감독은 묘를 이장하는 신선한 소재에 음양오행과 무속신앙 등을 더해 K오컬트를 구현했다. 여기에 일제강점기와 관련된 역사적 아픔을 담으며 영화 곳곳에 항일 코드를 숨겨놨다. 이러한 이스터에그를 찾는 것이 영화를 보는 재미 중 하나로 꼽혔다.
이에 대해 장재현 감독은 “이번 영화는 관객이 유독 빨리, 많이 알아냈다. 내가 변태스러운 구석이 있어 몇 명만 알았으면 했는데, 빨리 알아내서 놀라웠다”면서도 “그런 걸 이스터에그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서사와 인물들에 도움이 되고자 넣은 건데 작은 디테일까지 신경 써서 넣다 보니 이스터에그라고 느껴진 것”이라고 말했다.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은 ‘파묘’의 매력을 묻자 장재현 감독은 출연 배우들에게 공을 돌렸다. 그는 “배우들의 포텐셜, 궁합이 잘 맞았던 것 같다. 배우들이 인물들의 페이소스를 잘 살려줬다”고 밝혔다.
영화 ‘파묘’ 장재현 감독/사진=쇼박스 제공 장재현 감독은 “최민식 선배님이 매번 하는 말이 ‘이 맛에 영화한다’다. 영화를 찍는 것 자체도 좋아하지만, 관객과 호흡하는 것도 정말 좋아하더라”라며 “오랜만에 극장에 사람이 꽉 차고 관객에게 사랑받으니 너무너무 좋아한다. 나도 옆에서 같이 보면서 기분이 좋더라”라고 미소 지었다.
의외로 장재현 감독은 가장 화제를 모은 김고은의 대살굿을 아쉬운 장면으로 꼽았다. 그는 “김고은이 진짜 잘했는데 시간이 많이 없어 (김고은이) 한 것 중 반밖에 못 담았다. 그게 제일 아쉽다”고 털어놨다.
군 복무로 영화 데뷔작의 흥행 여정에 함께하지 못한 이도현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영화 데뷔작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데 같이 하지 못해 너무 아쉽다. 요즘 군대에서 정해진 시간에 휴대전화 사용이 가능해 틈틈이 관객수를 알려주고 무대인사 사진을 보내줬다. 그런데 군대에서도 ‘파묘’ 이야기만 한다고 하더라. 나보다 더 많이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캐릭터들을 그대로 살린 속편에 대한 관심도 뜨거운 상황이다. 장재현 감독은 “캐릭터들만으로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건 쉽지 않다”면서도 “무덤이야 다른 데를 파면 되는 것 아니겠냐. 더 좋은 이야기를 만나게 된다면 다시 한번 해보고 싶다”고 해 기대감을 더했다.
사진=쇼박스 제공 뜨거웠던 사랑만큼 ‘파묘’를 둘러싼 이슈도 여럿 있었다. 앞서 ‘건국전쟁’ 김덕영 감독은 ‘파묘’를 두고 “항일 독립? 또 다시 반일주의를 부추기는 ‘파묘’에 좌파들이 몰리고 있다”는 글을 게재해 논란이 일었다.
장재현 감독은 “영화를 보고 다양한 의견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화가 많은 사랑을 받다 보니 여러 이야기가 나오는 것에 감사하다”며 “‘파묘’는 어떤 이데올로기가 있다기보다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보편적인 감정을 가진 영화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중국 네티즌이 극 중 인물들이 화를 피하기 위해 몸과 얼굴에 축경을 새기는 장면을 조롱하고 도둑 시청도 서슴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여유로운 모습을 보였다. 장재현 감독은 “내가 어떤 것을 의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영화에 관심을 가져줘서 괜찮았다”며 “중국에서도 한국 영화가 자유롭게 개봉할 수 있었으면 한다. 한국인은 중국 영화를 사랑하는데...”라고 했다.
영화 ‘파묘’ 장재현 감독/사진=쇼박스 제공 ‘파묘’의 천만 관객 돌파까지 남은 관객수는 약 50만 명. 오는 24일, 천만 관객 돌파가 예상된다. ‘파묘’는 장재현 감독에게 어떤 작품으로 남을까.
장재현 감독은 “남다른 자식이다. ‘파묘’는 내게 캐릭터들이 많이 남는 영화일 것 같다. 물리적으로 힘든 게 많았는데 후반 작업 막바지에 영화를 보니 캐릭터들이 사랑스럽더라”라며 “그래서 급하게 엔딩 크레딧에 캐릭터 이미지를 그려 넣었다. 묘벤져스가 남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도 절찬리 상영 중이라 ‘파묘’랑 잘 사귀고 있다고 생각한다. 5년 고생했으니 극장에 오래 걸려있었으면 좋겠다”고 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