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밥그릇을 찾으려다가 남의 밥그릇까지 빼앗으려는 꼴이 됐다. SBS Plus·ENA 예능 프로그램 ‘나는 SOLO’(이하 ‘나는 솔로’)의 남규홍 PD에게 해당되는 말이다.
최근 남규홍 PD는 작가들의 재방료를 가로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작가들과 용역계약서 체결을 미루고 자신과 딸을 작가로 크레딧에 올렸다는 문제가 제기된 것이다. 남규홍 PD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재방료를 받은 적이 없으며, PD들도 크리에이터로서 작가들처럼 정당한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작가협회를 통해 작가가 재방료를 독식하는 것은 변화된 방송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남규홍 PD의 주장은 일견 타당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그가 재방료를 받았느냐, 안 받았느냐가 아니다. PD들이 작가들처럼 재방료를 받아야 한다는 것도 이번 일의 본질과는 무관하다.
그는 작가들의 용역계약서 작성을 ‘나는 솔로’에 맞게 하기 위해 미뤘다고 주장했다. 이는 남규홍 PD가 자신이 수장으로 있는 ‘나는 솔로’ 제작사 촌장엔터테인먼트에서 일했던 작가들에게 용역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채 일을 시켰다는 의미다.
더구나 문제를 제기한 작가들이 남규홍 PD에게 한국방송작가협회 양식에 맞는 표준 계약서 작성을 요구했지만 남 PD가 저작권 관련 부분을 ‘나는 솔로’에 맞게 수정했다고 주장했는데, 이 역시 납득할 수 없는 해명이다. 아르바이트를 해도 고용주가 자기 입맛에 맞게 계약서를 수정하면 문제가 되는 게 법이다. 결국 작가들의 권리를 묵살하고 자신의 입맛대로 계약을 강요한 셈이다.
남규홍 PD는 재방료에 욕심낸 적 없다는 주장의 근거로 “(‘나는 솔로’ 작가들이 계약서를 요구했을 때에서야) 협회 비회원에게도 작가료가 지급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만큼 재방료에 대해선 관심도 없고 무지했다”면서 “PD들이 작가들의 재방료를 탐했다고 하기 전 작가들도 재방료를 피디와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말도 안되는 궤변이다. 남 PD가 언제 그 사실을 알았던 간에 작가들의 정당한 대가를 지급했어야 했고, 지급하도록 해야 했다. 작가들의 재방료를 PD와 공유해야 한다는 건 본질을 흐리는 주장일 뿐이다.
또한 남규홍 PD는 “현재 많은 국내 영화감독들이 작가와 시나리오를 공동 창작하고 있으며 스크롤에 작가로도 이름을 올리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영화 쪽 역시 이 문제를 인지하고 크레딧에 올라갈 정확한 근거를 마련하려 노력 중이다. 할리우드에선 크레딧에 작가는 기여도에 따라 3명만 이름을 올릴 수 있고, 감독이 작가로서 크레딧에 이름을 올릴 경우 50% 이상 기여도가 있어야 한다. 기여도의 근거를 확인하기 위해 메일 등으로 명확한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건 물론이다.
남규홍 PD는 자신의 주장을 위해, 잘 알지도 못하는 다른 업계 이야기까지 무리하게 끌어들여 논점을 흐렸다. 남규홍 PD의 주장대로 예능, 시사 프로그램에서 PD와 작가의 업무 영역이 일부 겹치는 경우가 없지 않다. 그렇다 하더라도 PD가 작가 일을 일부 했으니 작가로서 크레딧을 올릴 수 있다면, 반대로 작가도 PD 일을 일부 했으면 PD로 크레딧에 이름을 올릴 수 있어야 한다.
관행이 절대적인 답은 아니다. 남규홍 PD는 작가들과 연기자들만 재방료를 받는 것은 지금 시대와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관행을 탓했다. 그 관행이 문제라면, 시대가 바뀌었으니 PD도 재방료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면, 자신을 비롯한 PD들의 이름을 작가로 올리는 것보다 먼저 제도 개선에 호소했어야 할 일이다. 남규홍 PD의 이러한 인식과 태도는 작가들의 업무를 폄훼하고 작가의 자리를 빼앗는 격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