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은 맛있어야 합니다. 이건 기본입니다. 그러나 행사 음식은 맛있기만 하면 안 됩니다. 그 행사의 의미를 요리에 담아서 내어야 합니다. 이런 일을 흔히 “음식에 스토리를 붙인다”고 말합니다. 제가 맛칼럼니스트로서 하는 일 중에 하나가 음식 스토리 개발입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만찬 기획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강원도 일대에서 열리는 동계올림픽이니 강원도에서 나는 식재료를 이용해 음식을 내어야 한다는 생각은 누구든지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그렇게만 하면 재미가 없습니다.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무엇이 만찬 테이블에 올라가야 합니다. 이런 거 하라고 저를 부른 것입니다.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이 있기 200일 전에 평창에서 동계올림픽 성공 기원 행사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 음식 기획에도 제가 참여를 했습니다. 감자전, 메밀전병 같은 평창 토속 음식으로 차렸고, 제가 행사 참석자들에게 음식 설명을 하며 이런 요지의 말을 하였습니다.
“감자 하면 다들 강원도를 떠올리지만, 분단 이전에는 개마고원 감자가 유명했습니다. 평창 동계올림픽에 북한이 참여한다면 개마고원 감자로 요리를 하여 함께 나눠 먹으면 좋겠습니다.”
북한은 동계올림픽 참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을 때였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마지막까지 북한 참가의 희망을 놓지 않을 것이라고 했지만, 겨우 200일 남은 시점에서 큰 기대를 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럼에도 저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북한이 개마고원 감자를 가져오고 우리가 감자 요리를 하여 전 세계 귀빈들 앞에 내놓을 밑그림을 그려두었습니다.
감자는 신대륙 작물입니다. 우리 땅에 본격적으로 재배를 한 것은 1890년대 이후입니다. 함경도와 강원도 등 산간지에 주로 심었습니다. 일제가 1930년대 개마고원을 관통하는 혜산선을 놓고 거기에다 감자를 집중적으로 심었습니다. 감자는 전분으로 가공해 운송을 했는데, 혜산선을 타고 길주까지 와서 다시 함흥으로 보내졌습니다. 전분이 녹말이고, 녹말의 함경도 사투리가 농마입니다. 함흥의 개마고원 감자 전분으로 뽑은 국수가 농마국수이고, 이 농마국수가 분단 이후 남으로 내려와서 함흥냉면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개마고원 감자는 북한의 주요 식량 자원입니다. 북한의 김씨 일가는 대대로 감자를 거둘 때가 되면 개마고원에 가서 감자 작황을 살피는 사진을 찍습니다. 분단이 되면서 우리는 개마고원 감자와 이별을 하게 되었고, 남한에서는 감자 하면 이제 강원도를 떠올리게 됐습니다.
남북으로 분단되기 이전에 한반도의 먹을거리 사정을 개마고원 감자 스토리로 풀어서 동계올림픽 만찬장에 내놓고 싶었습니다. 북한이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결정했다는 뉴스를 접했을 때에 저는 혼자 신이 나서 ‘개마고원 개마고원 개마고원’을 외며 다녔습니다.
“많은 양을 바라는 것은 아닙니다. 몇 박스만 보내주면 됩니다.”
북쪽에 개마고원 감자를 보내올 수 있는지 알아봐달라고 했습니다. 북쪽이 어떤 대답을 했는지는 알 수가 없었고, 유엔의 대북 제재 때문에 북한과는 어떤 물자로 오갈 수 없다는 말을 며칠 후에 들었습니다. 파는 것도 아니고 행사 음식 재료로 쓸 것이라는 사정 따위는 전혀 통하지가 않았습니다.
행사 음식은 하나에만 스토리를 붙이는 것은 아닙니다.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만찬에서 가장 주목을 받았던 것은 철조망을 녹이는 디저트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를 사진으로 담아갔습니다. 철조망 디저트를 보며 울었다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저는 개마고원 감자를 내지 못한 것이 너무 아쉬워서 만찬장 구석에 앉아 ‘개마고원 개마고원 개마고원’ 했습니다.
여의도 시위에 나가려고 방한용품을 찾다가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받은 바람막이와 방석 등을 발견했습니다. 2018년의 일인데 까마득히 먼먼 일로 여겨져 울컥했습니다. 금방 다 이룰 것 같았던 남북 교류와 화해는 다 어디에 가고 어쩌다가 전쟁 걱정을 하며 다시 시위를 나가는 처지가 됐는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지도를 놓고 개마고원을 가로지르는 혜산선을 손으로 짚으며 ‘개마고원 개마고원 개마고원’ 하고 앉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