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현빈이 하얼빈역 한복판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친다. 흉내 낼 수 없는 특유의 무게감으로 극의 중심을 잡는 동시에 섬세한 연기력으로 캐릭터의 미세한 감정 변화를 운반한다. 그의 눈빛에 깃든 강인함과 연약함은 시시때때로 충돌하며 그간 미디어 속에서 수없이 다뤘던 안중근을 새로운 형태로 빚어낸다.
오는 24일 개봉하는 ‘하얼빈’은 1909년, 하나의 목적을 위해 하얼빈으로 향하는 이들과 이를 쫓는 자들 사이의 숨 막히는 추적과 의심을 그린 영화다. 극중 현빈이 맡은 캐릭터는 대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 역사책과 다수의 매체를 통해 숱하게 보고 배운 바로 그 안중근 의사다.
하지만 현빈의 안중근은 익숙하기보다는 낯설다. 무엇보다 폭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렇다. 무명지(왼손 넷째 손가락)의 첫 관절을 잘라 혈서로 ‘大韓獨立’(대한독립)이라고 쓸 때도, “대한제국을 유린하는 일본 늑대의 우두머리, 늙은 늑대를 반드시 죽여 없애자”고 다짐할 때도, 이토 히로부미(릴리 프랭키)를 향해 총구를 겨눌 때도 그렇다. 현빈은 목소리를 높여 결연한 의지를 다지기보다 오롯이 눈빛과 무게감으로 아군을 이끌고 적군을 위압하며 순식간에 주변을 자신의 에너지로 뒤덮는다.
물론 더 큰 포인트는 어떤 풍파에도 끄떡없을 것 같은 이 단단함의 흔들림에서 온다. ‘하얼빈’은 위대한 영웅 안중근이 아닌 그 이면의 인간적 연약함을 부각한 작품이다. 예를 들면 독립운동가이기에 앞서 한 인간으로서 느끼는 두려움, 공포, 슬픔, 분노, 고독과 같은 것들이다. 현빈은 시종일관 단단하던 안중근이 이러한 감정에 잠식되는 찰나의 순간들을 포착해 끄집어 올린다. 얼굴에 그늘을 짙게 드리우고 음영을 채워 넣으면서 안중근 마음의 궤적을 차곡차곡 그려낸다.
실제 현빈은 “기본적으로 ‘하얼빈’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안중근의 모습은 앞서 정성화가 연기한 ‘영웅’의 안중근과 결이 다르다”고 짚으며 “(우민호) 감독님이 영화를 준비할 때부터 독립투사 안중근 모습도 담겨있지만 인간관계에서 오는 괴로움, 고통, 슬픔이나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기 때문에 거기 초점을 맞춰서 연기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지점은 어느새 클리셰가 되어버린 안중근 작품의 명장면까지 바꿔 놓는다. ‘하얼빈’의 하이라이트는 안중근이 헌신을 다짐하거나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총으로 쏘는 순간, 혹은 모든 걸 체념하고 사형대에 오르는 시퀀스가 아니다. 자신 때문에 죽은 동지들의 시체를 보며 무너져 내릴 때, 이토 히로부미 척결 첫 계획이 무산되고 안가 구석에서 벌벌 떨 때, 믿었던 동지가 밀정이라는 사실을 직접 확인하고 눈물이 맺힐 때다.
외적 싱크로율에 얽매이지 않았다는 점 역시 현빈의 안중근만이 지닌 차별점 중 하나다. 달리 말하면 현빈의 안중근은 지금껏 빚어진 안중근 캐릭터 중 실존 인물과 가장 닮지 않았다. 놓친 것이 아니라 일부러 놓은 것처럼 보인다. 현빈은 자신이 실제 안중근과 얼마나 닮았는지 애써 증명하려 하지 않는다. 다만 진심을 다한 표현으로 관객이 자신을 안중근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만든다. 진짜 중요한 것은 외모의 유사성이 아닌 연기의 진정성임을 증명해 낸다.
인중근이 된 현빈의 모든 순간을 카메라 안팎에서 지켜본 우민호 감독은 “현빈의 눈빛에는 쓸쓸함, 연약함, 강함, 두려움이 다 있다. 촬영할 때도 매번 매 순간 감탄했다”며 “현빈은 대역도 없었다. 자기가 나오는 건 얼굴이 안 나오고 뒤통수, 발만 나와도 무조건 했다. 그러다 보니 (안중근의) 처절함이 더욱 잘 담겼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마지막 카메라를 향해서 걸어올 때 얼굴의 여운이 여전히 깊게 남아있다. ‘나는 성공했어. 영웅이야’ 이런 얼굴이 아니다. 뭔가 복잡한 얼굴이다. 그게 내레이션과 잘 맞아떨어졌다. 아직 끝이 아니라고, 포기하지 말고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끝까지 싸워야 한다는 그런 얼굴이었다”며 만족감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