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프로야구 한화이글스와 KIA타이거즈의 시범경기가 12일 오후 대전 한화생명이글스파크에서 열렸다. 선발등판한 류현진 뒤로 피치클록 전광판이 보이고 있다. 대전=김민규 기자 mgkim1@edaily.co.kr /2024.03.12/
이젠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피치 클록이 내년 열리는 제6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도 도입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일본 교도통신은 20일 WBC를 주관하는 미국 메이저리그(MLB) 사무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 "내년 3월에 열리는 제6회 WBC에 투구 시간에 제한을 두는 피치 클록이 처음 도입된다. 올봄 열리는 예선에서도 적용될 것"이라고 전했다.
피치 클록은 경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MLB가 2023년 1군에 처음 도입해 지금까지 경기에 적용하고 있다. MLB에서 시행중인 현행 룰에서는 투수는 주자가 없을 때 15초 이내, 주자가 있을 땐 18초 이내에 공을 던져야 한다. 위반하면 볼 1개가 추가된다.
최근 국제 무대에서 무섭게 성장한 대만(CPBL)도 지난해 피치 클록을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대만 리그에선 무주자 시 20초, 유주자 시 25초로 제한을 뒀다. 다만 대만은 WBC에 피치 클록이 도입될 것을 대비, 올 시즌 피치 클록을 무주자 23초, 유주자 18초로 2초 씩 단축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연합뉴스
한국야구(KBO리그)도 지난해 시범 운영에 이어 올해 정식 도입을 앞두고 있다. 지난해 KBO는 주자가 없을 때 18초, 있을 때 23초 안에 공을 던지는 방식으로 시범 운영을 했다. 시범 운영이라 위반 시 별도의 페널티는 부과하지 않았다.
올해는 정식으로 피치 클록을 도입한다. 주자가 없을 때 20초, 주자가 있을 때 25초로 시간 여유는 생겼다. 하지만 WBC가 MLB 현행 룰을 따른 피치 클록을 정식 도입한다면 향후 변화가 생길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