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 타이거즈는 16일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KT 위즈와의 홈 경기를 0-3으로 패했다. 주중 3연전 중 1차전을 승리하며 연승에 성공했으나 이날 경기 패배로 상승세가 꺾였다. 시즌 11패(8승)째를 기록한 KIA는 7위에서 두산 베어스와 공동 8위로 한 계단 내려 앉았다.
KT 선발 오원석(6이닝 1피안타 6탈삼진 무실점)에게 속수무책이었다. 0-2로 뒤진 7회 말 선두타자 최형우의 첫 안타가 나오기 전까지 오원석에게 노히트노런으로 끌려갔다. 하지만 기회가 없었던 건 아니다. 선발 김도현이 6이닝 4피안타(1피홈런) 2실점 하며 오원석과 대등한 승부를 해줬다. 7회부터는 전날 공략에 성공한 KT 불펜이 가동돼 승부를 걸어볼 만했다.
16일 광주 KT 위즈전에 등판한 김건국. KIA 제공
추격 흐름이 끊긴 건 8회 초였다. KIA는 1사 후 피안타 2개와 볼넷으로 만루 위기에 몰렸다. 후속 장성우 타석에서 왼손 이준영이 아닌 오른손 김건국을 투입, 땅볼을 노려볼 계획이었다. 발이 느린 장성우의 특성상 내야 땅볼만 나오면 더블 플레이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짧은 좌익수 플라이가 나오면서 상황이 묘하게 흘렀다. 3루 주자 허경민이 과감하게 홈을 파고들었는데 KIA 좌익수 이우성은 다이렉트 홈 송구가 아닌 커트맨 유격수 박찬호에게 공을 던진 것. 박찬호가 부랴부랴 홈 송구를 시도했으나 무난하게 세이프. 더그아웃에서 이를 지켜본 이강철 KT 감독은 묘한 미소를 지었다.
경기를 중계한 장성호 KBS N 스포츠 해설위원은 "뒤에서 달려 나오면서 공을 잡고 송구까지 이어지는 도약 자세를 만들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송구에 힘을 붙일 수 있는 포구 자세를 만들어야 했으나 그러지 못했다는 의미. 사실상 제자리에서 공을 잡는 '기록되지 않은 실책성 플레이'에 가까웠다. 그만큼 디테일이 떨어졌다.
16일 광주 KT 위즈전에 출전한 이우성. KIA 제공
8회 초 추가점을 내준 KIA는 맥없이 물러났다. 8~9회 말 여섯 타자가 연속 범타로 물러나며 영봉패를 당했다. 그만큼 8회 실점이 경기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