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동 대학축구연맹 회장. 사진=대학축구연맹 한국대학축구연맹(회장 박한동)가 대학선수 대표 상비군 제도를 도입한다.
한국대학축구연맹은 산하에 기술위원회를 설치하고 연령별(U-19, U-20, U-21, U-22)로 상비군을 선발해 상시 운영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이는 그동안의 대학 대표팀이 국제대회를 앞두고 급하게 구성돼 충분한 준비 없이 성과를 내기 어려웠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다.
상비군 제도는 대학 무대에서 활동 중인 우수 선수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기량을 향상시키고, 대학 축구 전체의 수준을 높여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선수 개인의 국내외 프로 진출을 돕고, 대한민국 축구의 선수층을 두텁게 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상비군 체제는 오는 4월 27일 천안 단국대학교에서 U-19 상비군 선발전으로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나머지 연령별 상비군도 5월부터 순차적으로 선발한다. U-19 상비군 선발전에는 전국 대학에서 선발된 약 370명의 예비 선수들이 참가하며, 경기력, 신체 조건, 발전 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해 최종 선발한다.
제24회 덴소컵 경기 모습. 사진=대학축구연맹 상비군은 연령별, 권역별, 전체로 구분해 3단계 훈련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연령별 훈련은 각 연령에 맞는 맞춤형 강화 훈련을 실시하고, 권역별 훈련은 주 1회 실시해 개인 기량 향상을 도모하며, 전체 단위 훈련을 통해 조직력을 강화하고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대표를 선발한다. 또한, 연맹은 선수들의 기량뿐 아니라 인성 등 학생선수로서의 자질도 함께 강화할 방침이다.
박한동 한국대학축구연맹 회장은 “대학 축구는 성인 프로리그를 꿈꾸는 엘리트 선수들의 무대다. 상시 상비군 체제를 도입해 대학선수들이 사회인으로서뿐만 아니라 축구 선수로서의 성장에 도움을 주려고 한다”며 “이를 통해 대학 축구의 저변이 다져지면, 결국 대한민국 축구가 풍성해질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