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배출은 지구 환경오염의 주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데 농업을 통해서도 상당한 양의 탄소가 배출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다. 이런 가운데 전남대 농생명화학과 구연종 교수에게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25 일간스포츠 선정 혁신한국인 파워코리아 대상을 수상한 구연종 교수는 식물에서 살리실산이라는 호르몬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 기능을 밝히는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후 과정에서 식물 발달과 관련한 연구 및 나노입자와 식물의 상호 작용에 대해 연구했다. 현재는 생물비료실험실에서 최첨단 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농업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기능성 박테리아 즉, 생물비료와 토마토 품종 개량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농업용 기능성 박테리아는 작물에 양분을 공급하거나 생장 촉진 호르몬 분비, 병충해 방제 등 작물 생장에 도움을 주면서 아산화질소 발생을 저감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를 농업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아산화질소를 질소로 전환하는 박테리아를 토양에서 분리시켜 증식하고 다시 토양에 처리하는 연구를 전개하는 중이다.
구 교수의 토마토 품종 개량 연구는 유전자를 편집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해 토마토의 당도가 높아지고 스트레스 저항성이 강화된 기능성 토마토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병충해 및 스트레스 저항성 식물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고 이 성과를 토대로 연관 기업들과 R&D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구
교수는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메탄가스, 아산화질소 발생을 저감하는 박테리아 탐색 및 활용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도 진행하는데, 이 연구가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WiSET)의 공학연구팀제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앞으로 금속이온을 이용해 메탄의 원료인 유기물과 착화물을 형성하게 하는 화학적 방법, 메탄 발생에 관여하는 효소의 기능을 저해하는 생화학적 방법을 동원하는 등 농업 환경에 실제 적용하는 방법을 강구할 계획이다.
구 교수는 “농생명화학과는 박테리아, 진균, 천연물을 이용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연구에 특화돼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