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엘과 협업한 뷰티 유튜버 아옳이의 홍보 이미지. LG생활건강 제공 LG생활건강이 LG전자로부터 양수받은 미용기기 브랜드 ‘LG프라엘’의 신제품 반응이 뜨겁다. 최근 2~3년 사이 LG생활건강(LG생건)의 실적이 위축된 가운데, K뷰티 업계 내 가장 뜨거운 아이템으로 떠오른 뷰티 디바이스가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1일 미용업계에 따르면 LG생건은 프라엘 신제품 출시를 맞이해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서 최대 35%에 달하는 할인 행사를 진행 중이다. 특히 프라엘은 인기 뷰티 인플루언서 ‘아옳이’와 함께 공동구매와 증정품 등 선물까지 마련했다.
LG생건이 맡자 반응이 상당하다는 전언이다. 신제품 LG 프라엘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는 폭주하는 주문량에 비해 증정품이 모자라자 홈페이지를 통해 양해를 구할 정도다. LG생건의 한 관계자는 “핑크와 민트 등 일부 색상은 1·2차 물량이 마감돼 순차 발송을 안내할 만큼 반응이 좋다”면서 “2일 행사 종료 뒤에는 내부적으로 만족스러운 판매 집계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LG 프라엘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 이미지. LG생활건강 제공 모처럼 내린 단비 같은 성과다. LG생건은 지난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4590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5.7% 감소했다. 그동안 LG생건의 실적을 견인해 온 ‘더후’의 중국 내 매출이 부진한 결과다. 삼성증권 등 IB업계는 LG생건의 2분기 실적도 부진할 것으로 내다보고 목표가를 끌어내리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과 신흥 K뷰티 대기업에 입성한 에이피알, 구다이글로벌 등이 북미 지역 아마존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끄는 가운데 LG생건은 이렇다 할 인기 제품이 없는 상황이다.
삼성증권은 “LG생활건강은 K인디 브랜드들의 서구권 고성장을 이끈 마케팅 노하우를 이길 만한 전략이 아직 수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전략상 반전이 없다면 당분간 점유율 역전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쓴소리를 했다.
뷰티 디바이스는 최근 화장품 업계 새 먹거리로 성장했다. LG생건의 시가총액을 앞지른 에이피알은 대표 브랜드 메디큐브의 홈뷰티 디바이스 ‘에이지알’(Age-R) 시리즈를 앞세워 몸집을 불렸다. 아모레퍼시픽도 인공지능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메이크온에서 신제품을 잇따라 출시하면서 이런 분위기를 따라가고 있다.
1일 LG경영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2018년 약 5000억원에서 2022년 1조6000억원으로 3배 이상 성장했다. 2030년까지 연평균 10% 이상 성장해 3조 4000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프라엘은 LG전자가 전개하던 브랜드였다. 그러나 뷰티기기의 특성상 화장품과 결합할 때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면에서 LG생건이 추후 프라엘 제품 개발과 출시, 마케팅 활동 등을 맡기로 한 것으로 알려진다.
LG생건 측은 “고성능 디바이스와 화장품 간의 시너지를 통해 가정에서도 전문가 수준의 피부관리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차별적인 고객 가치를 선보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