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장 앞에 설치된 키오스크가 고객을 맞이한다. IS포토
화려한 손동작과 미소로 고객을 맞이하던 직원 대신 키오스크가 맞이하고 빈그릇은 로봇이 수거한다. 패밀리 레스토랑이 자동화 시대를 맞고 있다. 매장 직원의 접객 업무를 최소화하고 인력 효율화에 주력한 애슐리퀸즈의 ‘매장 자동화’ 시스템이 빛을 발하는 모습이다.
애슐리퀸즈는 점원 대신 키오스크로 고객 안내를 대신하고 있다. 매장 입구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거쳐야 식사를 할 수 있다.
실제로 최근 방문한 애슐리퀸즈 신풍점에는 입구에 3대의 키오스크가 설치돼 있었다. 인원수를 입력해 선결제하면 영수증이 출력되는데, 이 영수증에는 인원에 맞는 좌석 위치와 번호가 표시돼 나왔다. 고개를 돌리니 키오스크 바로 옆에 좌석 배치도가 입간판 형태로 비치돼 있어, 직원의 안내 없이도 해당 좌석을 찾을 수 있었다.
내 자리를 찾으면 곧장 뷔페 이용이 가능했다. 이용 중 빈 그릇을 치우고 싶으면 테이블의 벨을 누르면 됐다. 조금 기다리니 바구니를 실은 ‘베리봇’이라는 서빙 로봇이 테이블로 오는데 고객이 직접 그 안에 그릇을 넣어 치웠다. 매장 직원이 카트를 밀고 수거를 돕는 경우도 있으나 기본 구조는 ‘로봇 중심’으로 이뤄지는 모습이었다. 빈그릇을 수거하는 로봇 '베리봇'. IS포토 애슐리퀸즈는 결제·좌석 안내·퇴식 등 비핵심 업무를 자동화해 직원 개입을 최소화했다. 다만 아직까지 주방 자동화 시스템 구축까지는 도입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랜드이츠 관계자는 “키오스크와 서빙 로봇을 도입한 것은 인건비 절감이 아니라 매장 효율화 전략의 일환”이라며 “직원들이 반복적 업무 대신 조리와 서비스 등 고객에게 직접적인 가치를 주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랜드이츠의 자동화 전략은 눈에 띄는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로봇 자동화로 인건비 등 비용을 줄이고, 객단가를 낮춰 가성비 높은 패밀리 레스토랑으로 입소문이 났다. 애슐리퀸즈는 현재 115개 매장을 운영 중인데 연말까지 120개, 2026년에는 150개를 돌파할 전망이다. 그릴·스시·디저트 등 프리미엄 메뉴를 강화해 ‘가성비’와 ‘고급화’를 동시에 잡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매출도 급등했다. 2023년 2300억 원이던 매출은 지난해 4000억 원으로 1년 새 70% 이상 성장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하며 연내 최대 실적 달성을 기대하고 있다. 2018년 대비 올해 전 매장 평균 점당 매출은 8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애슐리퀸즈는 기술 기반 운영 혁신을 통해 외식업의 구조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며 “‘가성비와 스마트 오퍼레이션’ 모델이 앞으로 패밀리레스토랑뿐 아니라 프랜차이즈 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