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형표 지옥훈련과 현실로 다가온 '두찬호'...두산의 왕조 재건 프로젝트 [IS 포커스]
올겨울 KBO리그 자유계약선수(FA) 시장 '최대어' 박찬호(30)가 잠실행 결심을 굳힌 모양새다. 두산 베어스와의 계약 성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박찬호가 두산과 큰 틀에서 동행하기로 합의했고, 세부 옵션을 조율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계약서 사인까지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해 보이지만, 박찬호가 두산 유니폼을 입을 가능성은 매우 높아 보인다.
박찬호는 공·수 밸런스가 좋은 유격수다. KIA 입단(2014 2차 신인 드래프트 5라운드) 초기에는 '코리안 특급' 박찬호와 동명으로 더 주목받았지만, 현역으로 군 복무를 마치고 소속팀에 복귀한 2019시즌부터 주전급으로 발돋움했고, 2022시즌부터는 약점이었던 타격 능력까지 3할 타율을 기대할 수 있을 만큼 향상되며 자신의 가치를 높였다. 2024시즌에는 KIA의 통합 우승을 이끌었고, 데뷔 처음으로 유격수 부문 골든글러브까지 차지했다. 그렇게 첫 FA 자격을 얻고 '최대어' 평가를 받았다.
두산은 김태형 감독(현 롯데 자이언츠)이 부임한 2015시즌부터 7연속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하지만 2022시즌 8위로 밀렸고, 이승엽 전 감독 체제로 치른 2023·2024시즌은 각각 5위와 4위, 이 감독이 자진 사퇴하고 조성환 대행이 지휘봉을 이어 받아 마친 2025시즌은 9위에 머물렀다.
두산은 KBO리그 마지막 왕조다. 최근 4시즌 사이 2번 포스트시즌(PS)에 나갔지만, 두산팬 눈높이에 맞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한 번 몰락한 왕조를 다시 재건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잘 아는 두산 프런트 베테랑들은 2026년을 재도약 적기로 삼은 것 같다. 그렇게 심사숙고 끝에 2022년 SSG 랜더스의 통합 우승을 이끈 김원형 감독을 새 사령탑으로 영입했고, 올겨울 스토브리그에서도 최대어(박찬호) 영입전 승리에 다가서며 쇄신 의지를 드러냈다.
박찬호가 가세한다고 두산이 단번에 우승 전력을 갖추는 건 아니다. 최근 10년 그런 영향력을 보여준 건 2017년(계약 첫해 기준) KIA 유니폼을 입은 최형우가 유일하다.
두산은 2022시즌이 끝난 뒤 양의지를 영입해 이승엽 감독에게 부임 선물을 했다. 당대 최고 포수이자 왕조 시절 주전 포수였던 양의지는 2019년 NC 다이노스로 이적해 4년을 뛰고 다시 두산에 복귀했다.
두산의 박찬호 영입은 양의지 영입부터 시작된 재건 계획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몸을 사리지 않는 허슬 플레이와 탄탄한 수비 조직력을 앞세워 왕조를 구축했던 두산이 팀 정체성을 회복해 다시 강팀에 올라서겠다는 것. 김원형 감독이 현재 이끌고 있는 미야자키(일본) 마무리 캠프에서 마치 '야신' 김성근 감독을 떠올리게 할 만큼 혹독한 훈련을 진행하는 '예상 밖' 행보도 같은 배경으로 보인다.
박찬호가 두산 유니폼을 입으면, 다른 팀에 밀리지 않는 센터 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왕조 시절 김재호(은퇴)가 그랬던 것처럼 내야진 리더 역할을 맡아줄 것이다. 지난 3년 주전으로 성장할 자질을 증명한 안재석·오명진·박준순·이유찬 등 젊은 내야수들은 남은 자리를 두고 경쟁 시너지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2016년 김재호(두산) 2017년 김선빈(KIA) 2023년 오지환(LG)은 그해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고 유격수 부문 골든글러브까지 차지했다. 두산이기에 더 눈길을 끄는 박찬호 영입설이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