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좁쌀처럼 작은 혹이 만져질 때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겉보기엔 단순한 피지 덩어리 같더라도 의학적으로는 표피낭종(피지낭종)일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표피낭종은 비교적 흔한 양성 종양이지만 방치하거나 자가로 짜낼 경우 염증·감염으로 번질 위험이 크다.
표피낭종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 세포가 피하조직 안에 갇히면서 생기는 주머니 형태의 병변이다. 이 속에는 각질과 피지가 서서히 쌓이며 덩어리를 형성한다. 얼굴, 목, 등, 등, 겨드랑이, 두피 등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에서 주로 발생하고 크기는 쌀알만 한 크기부터 수 센티미터까지 다양하다.
초기에는 통증이나 불편감이 거의 없지만 내부 물질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고여 있을 경우 세균이 침투하면서 붉게 붓고 통증이 생긴다. 염증이 심해지면 고름이 차거나 터지면서 악취가 나는 분비물이 나올 수도 있다.
표피낭종은 대부분 양성이지만 자연적으로 완전히 사라지는 경우는 드물다. 염증이 없을 때는 간단한 절제 시술로 낭종 벽까지 제거하면 재발을 막을 수 있다. 반면 염증이 생긴 상태에서는 우선 항생제 치료나 염증 주사로 급성기 증상을 가라앉힌 뒤 절제하는 것이 안전하다.
집에서 바늘로 터뜨리거나 손으로 짜내는 것은 오히려 염증을 악화시키고 흉터를 남길 수 있다. 낭종 벽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 다시 같은 부위에 생기기도 한다. 또한 세균 감염으로 인한 2차 농양(고름주머니)으로 이어질 수 있어 자가 처치는 피해야 한다.
표피낭종 절제는 단순히 제거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용적 결과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얼굴이나 목 등 노출 부위의 경우 절개선 위치와 봉합 방법에 따라 흉터가 달라질 수 있다. 숙련된 의료진이 피부 긴장선과 주름 방향을 고려해 수술하면 흉터를 최소화하고 자연스러운 회복이 가능하다.
신도림 큐브성형외과 김환익 원장은 “겉으로 보기엔 단순한 피지 덩어리처럼 보여도 내부 낭종 벽이 남아 있으면 재발 가능성이 높다”며 “멍울이 반복적으로 생기거나 점차 커진다면 조기에 진료를 받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표피낭종은 대체로 무해하지만 방치하거나 잘못 관리하면 오히려 염증과 흉터로 이어질 수 있다”며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치료받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