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스포츠 연평균 900억원 중계권 시대가 열릴지 주목된다. 한국야구위원회(KBO)가 티빙과의 유무선 중계권 계약 세부 내용 공개에 조심스러운 입장을 전했다.
25일 한 매체는 한국야구위원회(KBO)와 OTT 티빙(CJ ENM)이 KBO리그 뉴미디어(유무선) 중계권 연장 계약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티빙이 2026년까지인 기존 3년 계약에 5년 더 연장해 2031년까지 유무선 중계권을 보유한다는 게 골자다. 업계에서는 연평균 900억원, 약 4500억원 규모 빅딜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전했다.
하지만 아직 협상은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KBO 관계자는 관련 기사 내용에 대해 "(KBOP를 포함해) 내부적으로도 확인이 어렵다. 아직 도장을 찍은 게 아니기 때문에 구체적인 기간과 금액에 대해 지금 드릴 말씀은 없다"라고 했다.
KBO리그 중계권 사업을 협상하는 KBOP는 2023년 3월, 티빙과 3년(2024~2026) 총액 1350억원(연평균 450억원)에 유무선 중계방송권 계약 합의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이미 당시에도 국내 프로스포츠 사상 최대 규모 계약이었다.
티빙이 유무선 중계권 사업자로 선정된 뒤 야구 관련 콘텐츠 생산이 다양해지고, 잠재 고객(야구팬) 진입이 활발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포털 사이트를 통해 무료로 야구 중계를 시청하던 기존 팬들은 심리적 장벽을 느껴 불만을 드러냈지만, 야구 산업화 측면에서는 도움이 되는 변화였다.
KBO는 지난 18일 티빙과 유무선 중계권 계약 우선협상을 거쳤고, 기간과 규모(총액)에 대해 합의점을 찾아 차기 계약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KBO가 경쟁 입찰을 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만큼 티빙 측에서 높은 금액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이날 한 매체를 통해 그 기간(5년)과 예상 총액(연평균 900억원)이 언급됐다. KBO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