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식 원장. 바른세상병원 제공 50대 주부 영희 씨는 최근 김장을 마친 뒤 손이 저릿하고 젓가락을 잡을 때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들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며칠 쉬면 괜찮겠지 생각했지만, 밤이 되면 저림이 심해져 잠을 설치는 날이 늘었다. 설거지나 청소처럼 평소 하던 집안일조차 힘들어지자 결국 병원을 찾았고, 검사 결과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절인 배추를 이용하거나 김치를 필요할 때 사먹는 가구가 늘어 예전보다 김장 노동이 줄었지만 수십 포기의 배추를 옮기고, 버무리는 과정은 여전히 손목에 상당한 부담을 준다. 김장철 이후 주부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손저림과 손목 통증은 단순 피로나 혈액순환 문제로 생각해 넘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반복된 손목 사용으로 인해 신경이 눌리는 손목터널증후군일 가능성이 높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 앞쪽의 좁은 통로인 수근관을 지나는 정중신경이 인대나 주변 조직의 부종으로 압박을 받으면서 발생한다. 빨래나 설거지 등 반복적인 가사노동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요즘에는 스마트폰·컴퓨터 사용이 늘면서 젊은 층에서도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다. 정중신경이 눌리면 엄지·검지·중지·약지의 반쪽에서 저림이 나타나고, 심하면 감각이 둔해지거나 악력이 떨어져 젓가락질이나 단추 잠그기 같은 섬세한 손동작도 어려워질 수 있다.
초기에는 약물·주사·부목 고정 등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통증과 저림이 심해 밤잠을 설치고 손바닥 근육이 눈에 띄게 위축되거나 악력이 떨어져 물건을 자주 놓치는 상황이라면 수근관을 넓혀주는 수술(인대절제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찬 공기로 인해 손목 주변 혈류가 떨어지기 쉬워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평소보다 예방과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김장 때는 장갑을 착용해 손을 따뜻하게 보호하고, 김장 후에는 온찜질로 경직된 손목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무거운 배추나 김치통을 반복해서 들면 신경 압박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한 번에 많은 무게를 드는 것보다 여러 번 나눠 옮기는 것이 좋다.
평소 손목이 약한 사람은 손목 보호대를 착용해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 안전하다. 손목이나 손가락에 시큰거리는 통증이 생기면 따뜻한 물에 손을 담근 뒤 주먹을 가볍게 쥐었다 폈다 하는 동작을 5분 정도 반복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