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외국인 선수 시장에 '세금 이슈'가 터져 나와 초미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야구위원회는 지난달 중순부터 10개 구단 경영지원팀 또는 운영팀 실무자들과 함께 긴급 대책회의를 했으나 뚜렷한 대책을 세우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간스포츠는 [외인택스 파문] 기획 3회에 걸쳐 드러난 문제점, 향후 외국인 선수와 계약 시 미칠 영향 등에 대해 집중 분석했다.
외국인 선수 '세금 이슈'는 향후 계약 및 몸값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구단들이 '세금 이슈'를 주목하는 이유다.
그동안 각 구단들은 외국인 선수의 연봉(계약금 포함) 가운데 원천징수세율인 22%(지방세 포함)를 떼고, 나머지 금액(78%)을 외국인 선수들에게 줬다. 그런데 2015년 2월 3일 소득세법 시행령이 일부 개정돼(일간스포츠 2~3일 보도) 올해부터 최대 40%(내년 5월 신고하는 2018년 소득분에 대해선 최고 42%)를 내야 한다. KBO 관계자는 "시행령 개정으로 외국인 선수도 국내 선수처럼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혁 한경회계법인 공인회계사·세무사는 "외국인 선수가 내야 하는 세금이 대략 2배 가까이 껑충 뛰어오른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외국인 선수들은 종합소득세 신고와 관련한 '세금 이슈'에 대해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구단이 먼저 외국인 선수에게 개정된 소득세법 시행령에 대해 통보하기 전에 이미 파악하고 있던 선수들도 있다. 모 구단 관계자는 "우리팀 외국인 선수는 이미 타 구단 외국인 선수에게 전해 들었다'고 하더라"고 귀띔했다. 낯선 이국땅에서 선수 생활을 하는 외국인 선수에게는 그만큼 민감하고, 중요한 이슈다.
단지 외국인 선수에게만 국한된 사항은 아니다. 외국인 선수를 영입하는 구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봉은 변함없는데 내야 할 세금이 많다'면 가장 먼저 구단을 찾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구단에 더 많은 연봉(계약금 포함)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외국인 선수에게 바뀐 시행령에 관한 소문이 퍼져 있는 데다 에이전트가 외국인 선수에게 이를 직접 알려 줄 것이기 때문이다. A구단 외국인 선수는 '기존 계약서에 포함된 22% 원천징수세율과 달리 최대 40%까지 세금을 낼 수 있다는 구단 측 설명을 듣고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고 한다.
KBO와 각 구단들도 이를 염려하고 있다. KBO 관계자는 "쉽지 않은 문제"라면서 "지금 당장은 문제가 아니지만 향후 외국인 선수와 계약 시 '연봉을 더 올려 달라'는 식의 요구를 해 올 가능성이 있다"고 귀띔했다. B구단 관계자는 "향후 외국인 선수의 몸값이 오를 수 있는 여지가 된다"고 밝혔다.
한국 무대를 처음 밟는 선수는 첫해에 기존 원천징수세율 22%보다 낮은 3.3%만 낸다. 그리고 재계약에 실패하면 이듬해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 구단 입장에선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을 전망이다.
반면 KBO 리그 2년 차 이상 외국인 선수의 경우엔 문제가 된다. 가령 2017년에 활약한 외국인 선수가 재계약에 성공하면 2017년 소득에 대해 2018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반드시 해야 한다. C구단 관계자는 "한 시즌 이상 KBO 리그에서 뛴 외국인 선수와 재계약할 때 '세금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요구해 올 수 있다. 결국 몸값 상승이나 세금 문제 해결 대납 등 구단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고 걱정했다.
이 경우 구단 입장에선 좋은 성적을 남긴 외국인 선수와 재계약하자니 비용 부담이 걱정되고, 재계약을 안 하자니 팀 전력을 고민해야 하는 난처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