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지난 13일 독일 베를린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6G 테라헤르츠 대역으로 실외에서 통신 신호를 직선거리 100m 이상 거리로 보냈다. LG전자 제공 LG전자가 6G 이동통신 상용화에 성큼 다가섰다.
LG전자는 6G 테라헤르츠(THz) 대역을 활용해 실외에서 100m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테라헤르츠 무선 송수신 기술은 1초당 최대 1테라비트(1Tbps)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6G 이동통신의 핵심이다.
LG전자는 지난 13일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6G 테라헤르츠 대역으로 실외에서 통신 신호를 직선거리 100m 이상 거리로 보냈다.
LG전자와 유럽 최대 응용과학 연구소 그룹 프라운호퍼는 6G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통신 신호를 안정적으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를 공동으로 개발했다.
6G 테라헤르츠와 같은 초광대역은 주파수 도달 거리가 짧고, 안테나 송·수신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심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개발이 절실하다.
전력 증폭기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신호를 증폭해 통신 거리를 늘린다. 새로 개발한 전력 증폭기는 155~175GHz의 대역 범위에서 안정적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출력 신호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LG전자는 이번 시연에서 전력 증폭기 외 채널 변화와 수신기 위치에 따라 빔 방향을 변환하는 '가변 빔포밍'과 복수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로 전달하는 '고이득 안테나 스위칭' 기술을 함께 개발했다.
6G 이동통신은 2025년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2029년에는 상용화가 예상된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