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경제

척추 굳는 강직성척추염 환자, 3년 넘게 진료과 전전

류마티스 질환 중 하나인 강직성척추염 환자들이 평균 3년 간 '진단 난민'으로 진료과를 전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류마티스학회는 31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강직성척추염 진단 실태’ 기자간담회를 갖고 환자 101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강직성척추염은 척추에 염증이 발생하고, 점차 척추 마디가 굳어 변형되는 류마티스 질환 중 하나이다. 주로 소아, 청년기에 시작되며 진행성 염증성 질환이다. 강직성척추염은 눈에 보이는 증상만으로 파악하기 어려워 진단이 늦어져 고통받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학회가 전국 26개 대학병원에서 진료받고 있는 10~70대 강직성척추염 환자 1012명(남자 767명, 여자 235명, 무응답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강직성척추염 진단 실태’ 조사에서 확인됐다. 이번 조사결과, 정확하게 진단받지 못하고 진료과를 전전하는 ‘진단 난민’ 기간이 평균 39.78개월로, 약 3년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강직성척추염에 따른 염증이 눈을 침범하는 포도막염이 동반된 환자(255명)는 강직성척추염을 진단받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평균 52.89개월로 더 길었다. 이는 강직성척추염의 진단과 치료 시기가 늦을수록 척추 외 다른 신체 부위에까지 침범 위험이 더 커질 수 있음을 뜻한다. 강직성척추염 진단을 받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이유는 초기 증상이 척추 중심으로 나타나 환자 대부분이 고관절염이나 허리디스크 등 단순 근골격계 질환으로 오인하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 대상 환자들의 류마티스내과 방문 계기는 ‘다른 의사의 권유’(63.4%), ‘지인 소개’(14.4%), ‘인터넷/SNS 검색 결과’(13.6%) 등이 꼽혔다. 그런데 ‘류마티스내과’를 가장 먼저 찾은 환자는 18.2% 정도에 그쳤으며, ‘정형외과’(61.5%), ‘신경외과’(7.2%), ‘통증의학과’(4.5%), ‘재활의학과’(3.1%) 등을 먼저 찾는 경우가 흔했다. 환자들은 이전에 ‘고관절 등 관절염’(15.2%), ‘허리디스크’(14.9%), ‘만성 근육통’(6.5%), ‘자세 불량으로 인한 요통’(6.2%) 및 ‘통풍’(0.9%), ‘족저근막염’(0.8%) 등을 진단받은 적이 있었다. 이런 현상은 강직성척추염이 척추 외에도 무릎이나 발목, 손목, 팔꿈치 같은 팔다리 관절에도 관절염 증상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강직성척추염은 다른 근골격계 질환과 달리 휴식 후에도 목, 허리 등 척추 부위 통증이 사라지지 않거나 더 심해지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외에 동반증상도 나타난다. 이번 조사 대상 환자들은 ‘척추의 통증 및 뻣뻣함’ 외에 ‘전신 피로’(59.8%), ‘근육통’(39.3%), ‘관절통’(37.0%), ‘무력감/우울증’(25.1%), ‘포도막염’(25.2%) 등의 증상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동반증상은 40대 이상에서, 진단 시기가 5년이 넘은 환자에서, 여성 환자에서 조금 더 많이 호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직성척추염 외 진단된 보유 질환으로 ‘고혈압’(20.7%), ‘고지혈증’(14.0%), ‘불면증’(8.8%), ‘당뇨병’(6.4%)’, ‘우울증’(4.9%) 등이 나타났다. 40세 이상 강직성척추염 환자는 내과적 동반 질환이 많고, 심장 및 장 질환 동반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강직성척추염은 약물 및 생물학적 제제(주사요법)와 같은 내과적 치료와 관리로 정상에 가까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생물학적 제제는 강직성척추염의 척추 염증과 통증 개선을 비롯한 다양한 방면에서의 개선 효과가 확인돼 많은 환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다만, 강직성척추염 환자에게는 약물치료 못지 않게 운동도 중요하다. 스트레칭 등 준비운동을 충분히 하고 자전거 타기, 배드민턴 등 생활 운동을 관절이 다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루 20~30분 정도 하면 바른 자세 유지와 관절 통증을 줄여주는 데 도움이 된다. 수영도 하루 40~50분 정도면 좋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강직성척추염 환자의 운동량이 하루 ‘10분 미만’ 25.4%, ‘10~20분’ 23.9%, ‘20~30분’ 18%, ‘30~60분’ 10.9%, ‘60분 이상’ 10.4%, ‘전혀 하지 않는 환자’가 9.9%로 나타났다. 또 조사 대상의 43.5%는 ‘진료 외 질환에 대한 부수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강직성척추염 관리에 대한 교육 필요도 확인됐다. 박성환 대한류마티스학회 이사장은 “강직성척추염 환자 수가 점차 늘어난 것은 그간 자기 병명을 알지 못하고 여러 곳을 헤매던 환자들이 정확한 진단을 받게 된 시간 차의 결과로도 해석될 수 있다"며 "강직성척추염 환자의 아픔을 줄이기 위해 질환 인식 증진과 질환 관리 교육에 대한 다각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대한류마티스학회는 올해부터 매년 11월 첫 번째 금요일을 ‘강직성척추염의 날’로 선포한다. 강직성척추염 진단이 늦어질 경우 통증과 척추 변형의 위험이 커진다는 사실을 알리고 조기 발견과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이명수 대한류마티스학회 홍보이사(원광대학교병원)는 “올해부터 11월 첫 번째 금요일을 ‘강직성척추염의 날’로 제정한 만큼 환자가 조기에 진단과 치료를 받아 하루라도 빨리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많은 활동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19.10.31 15:05
연예

[이건목 원장 칼럼] 원리침도로 잡은 강직성척추염

23년 만에 공휴일로 재지정된 한글의 날이 얼마 전이었다. 한글을 창제해 만인의 눈을 틔운 세종대왕이었지만 본인은 정작 말년에 실명에 가까운 시력상실로 고통 받았다고 한다. 세종대왕의 시력상실이 당뇨에 의한 합병증이었을 것이라는 등 많은 의견이 존재한다. 하지만 세종대왕이 젊은 시절부터 강직성척추염을 앓았으며, 그가 겪었던 시력상실은 강직성척추염으로 인한 포도막염에서 기인된 것이라는 주장이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세종 17년 기록에 의하면 세종대왕은 중국 사신 전별회에 불참하며 "내가 궁중에 있을 때는 조금 불편하기는 하나 예를 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는데 지금은 등이 굽고 꼿꼿해 굽혔다 폈다 예를 행하기 어렵다"고 말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이 굽고 꼿꼿한 것은 뼈가 대나무처럼 붙어가는 'Bamboo spine'이라 불리우는 강직성척추염의 관절 강직에 해당하며, 세종은 이 시기 진행된 관절 강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강직성척추염은 20대 초반의 젊은 남자에게 다발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질병의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난치성 질환이다. 1000명중 한명 꼴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강직성척추염은 발병 초기 수면 등 쉬는 자세에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기상 후 척추관절이 뻣뻣한 조조강직이 특징이다. 강직성척추염은 움직이면 개선되는 특징이 있어 많은 경우 정확한 진단을 받지 못한 채 운동 등을 통해 관리만 하는 경우가 많다. 강직성척추염은 진단과 치료없이 방치될 경우 관절 강직이 진행돼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뿐 아니라, 시력상실을 가져올 수 있는 포도막염과 폐·심장 신경계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진단을 통한 적극적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충남 당진에 거주하는 손모씨는(32) 20살 무렵 기상 후 강직감을 동반하는 극심한 통증을 겪었다. 통증은 간헐적으로 찾아왔으며 단순요통이라 생각해 운동 등을 통해 관리해왔다고 한다. 이후 30살 무렵부터는 바닥에 앉아 밥을 먹는 것이 불편하고 땅에 떨어진 물건을 짚기 위해서는 무릎을 굽혀야만 하는 등의 생활적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특히 불편함으로 인해 잘 때 바로눕지 못하고 옆으로 누워야만 편하게 잠에 들 수 있었다고 한다. 올해 9월 처음 병원에 왔을 때는 침대에 누울 때 머리가 바닥에 닿지 않을 정도로 관절의 강직이 진행된 상태였다. 엑스레이에 요추와 흉추가 붙어가서 강직이 심한 것으로 보여 요추와 흉추 부위에 대해 강직을 풀어내기 위한 원리침도시술을 2회에 걸쳐 시술했다. 원리침도 시술 이후 바로 누워 머리가 바닥에 닿을 수 있게 되었으며 바로 누워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등 일상생활의 불편함도 개선됐다. 주위에 원인 모를 척추통증을 겪는 젊은 남성이 있다면 가까운 병원에서 강직성 척추염 검사를 받아보길 권유한다. 또한 강직성 척추염으로 인한 통증과 관절강직을 해결하기 위한 원리침도시술을 권하고 싶다. 통증과 아침에 일어났을 때 뻣뻣함이 주된 증상인 강직성 척추염 초기에 원리침도시술을 받게 되면 통증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진행될 수 있는 관절의 변형을 상당부분 예방하거나 늦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의 환자처럼 관절강직이 진행된 경우라도 원리침도시술을 통해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2013.10.14 08: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