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8건
경제일반

휘발유값, 8개월 만에 다시 경유 앞질러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판매 가격이 경유 가격을 8개월 만에 다시 추월했다.2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2월 4주(19∼23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L(리터)당 1579.1원으로 전주보다 1.7원 올랐다.국내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0.7원 오른 1655.4원, 최저가 지역인 울산은 0.9원 상승한 1545.1원이었다.상표별로는 GS칼텍스 주유소가 L당 1587.6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551.9원으로 가장 저렴했다.이번 주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24.1원 하락한 L당 1584.9원으로 집계됐다.경유 판매가격은 주간 단위로 14주째 내렸다.주간 단위로는 아직 경유가 조금 더 비싸지만, 일간 단위로는 지난 23일 자로 휘발유 가격이 경유 가격을 작년 6월 이후 8개월 만에 앞질렀다.전날 오후 5시 기준 휘발유 가격은 L당 1579.35원, 경유 가격은 1573.12원이다.보통 국내에서는 세금이 많이 붙는 휘발유가 경유보다 비싸게 판매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촉발한 경유 수급난 여파로 한동안 가격 역전이 일어났다.올해 초 휘발유에 붙는 유류세 인하 폭이 37%에서 25%로 축소되고, 경유 유류세 인하 폭은 37%로 유지되면서 가격 차가 줄기 시작했다.또 유럽의 난방용 발전 수요가 줄면서 국제 경유 가격도 꾸준히 내렸다.이번 주 국제 유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기조 재확인, 달러화 강세, 미국 상업원유 재고 증가 등에 하락했다.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이번 주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2.5달러 내린 배럴당 81.3달러를 기록했다.국제 휘발유 평균 가격은 2.7달러 내린 배럴당 94.5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 가격은 4.5달러 내린 배럴당 104.0달러였다.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국제 경유 가격이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다"며 "앞으로 최소 2∼3주 정도는 휘발유 가격이 경유보다 높은 흐름이 이어지고 가격 차이도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02.25 09:39
경제일반

경유-휘발유 가격차 10원대로 줄어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판매 가격은 소폭 하락하고, 경유 판매 가격은 큰 폭으로 내리며 가격차가 10원대로 좁혀졌다.1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2월 3주(13∼17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L(리터)당 1577.3원으로 전주보다 1.3원 내렸다. 휘발유 가격은 주간 단위로 지난주까지 3주 연속 오르다가 약보합세로 돌아섰다.국내 최고가 지역은 서울로,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6.3원 내린 1654.7원이었다. 최저가 지역인 울산은 0.9원 하락한 1542.8원이다.GS칼텍스 주유소에서 L당 1586.3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551.7원으로 나타났다.이번 주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23.8원 하락한 L당 1608.9원으로 집계됐다. 주간 단위로 13주째 내린 것이다.이에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싼 '가격 역전' 현상이 8개월째 이어지고 있지만, 한때 230원 넘게 벌어진 가격 차는 많이 줄어든 모습이다.전날 오후 5시 기준 경유 가격은 L당 1598.09원, 휘발유 가격은 1578.47원으로 차이는 19.62원이다.가격 차가 좁혀진 것은 올해 1월 1일부터 휘발유에 붙는 유류세 인하 폭이 37%에서 25%로 축소됐기 때문이다. 경유 유류세 인하 폭은 37%로 유지됐다.또 유럽의 난방용 발전 수요가 줄면서 국제 경유 가격은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다.국내 일부 지역에선 이미 휘발유 가격이 경유 가격을 앞지른 주유소들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이번 주 국제 유가는 중국의 석유 수요 회복세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이번 주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2.7달러 오른 배럴당 84.2달러를 기록했다.국제 휘발유 평균 가격은 1.4달러 오른 배럴당 98.1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 가격은 2.0달러 오른 배럴당 109.5달러였다.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3.02.18 08:22
생활문화

계속 떨어지는 기름값…이번주 휘발유 15원·경유 16원↓

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판매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갔다. 10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2월 첫째 주(4∼8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1611.1원으로 전주보다 15.1원 내렸다. 휘발유 가격은 주간 단위로 13주째 하락했다. 이번 주 경유 판매가격도 전주보다 16.2원 내린 1845.7원으로 집계됐다. 경유 가격은 주간 단위로 3주 연속 내렸다. 다만 경유가 휘발유보다 평균 200원 이상 비싼 '가격 역전'은 이어지고 있다. 국내 석유제품 가격은 다음 주에도 하락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화물연대 파업보다는 국제유가 하락이 휘발유와 경유 판매 가격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며 "국제유가가 계속 내리고 있어 국내 제품도 가격 하락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2.10 10:23
자동차

휘발유·경유 '가격역전' 심화, 디젤차 운전자 한숨 깊어진다

디젤차 운전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값싼 '서민의 기름'으로 인식됐던 경유 가격이 휘발유보다 비싼 '가격 역전'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어서다. 업계에서는 전동화 열풍에 가까스로 명맥을 이어 가던 디젤차 시장의 '호흡기'가 떨어지고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30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9시 기준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L당 각각 1660.81원, 1866.73원을 각각 기록했다. 경유가 휘발유보다 205.92원 비싸게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유는 휘발유보다 싸게 판매됐다.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돼 휘발유보다 세금이 낮게 매겨지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1월까지만 해도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1635.22원으로 경유(1453.53원)보다 180원가량 비쌌다. 그러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유럽을 중심으로 경유 공급이 부족해졌고, 이에 지난 5월 11일 경유 가격(1947.59원)이 휘발유 가격(1946.11원)을 추월했다. 국내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을 넘어선 것은 2008년 6월 이후 약 14년 만이다. 이후엔 등락을 반복하다 6월 13일부터 이날까지 4개월 넘게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싼 가격 역전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이번 가격 역전 현상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경유 수급난이 해소되지 않고 있어서다. 유럽은 경유를 연료로 쓰는 디젤 차량이 많은데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이동이 줄자 현지 정유업체들이 경유 생산을 줄였다. 여기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경유 수급난이 가중된 것이다. 정유업계는 당분간 역전 현상 해소가 어렵다고 보고 있다. 경유는 난방유로도 쓰이는데, 겨울이 다가오면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디젤차 운전자들의 부담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디젤차 운전자 A 씨는 “최근 기름을 넣을 때마다 높아진 경유 가격에 깜짝깜짝 놀란다”며 “최대한 짧은 거리는 걸어 다니고, 아니면(거리가 멀면)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을 타고 다닌다”고 하소연했다. 업계에서는 치솟는 경유 가격에 전 세계적인 친환경 흐름까지 겹치며 경유를 사용하는 디젤차의 미래가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디젤차 등록 대수는 급감하는 추세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디젤차는 총 24만6674대가 등록됐다. 전년 동기 대비 27%나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전기차가 11만9841대로 73%가량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전체적으로 차 판매량이 줄었는데 그중 디젤차의 판매량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며 “유가 상승으로 인해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으나 디젤차의 경우 환경 문제도 있다 보니 친환경 차량인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눈을 돌리는 운전자들이 많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0.31 07:00
경제일반

휘발유·경유 2000원 시대…유가 3주 연속 오름세

국내 유가가 3주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사상 처음으로 휘발유와 경유가 리터당 2000원을 넘기도 했다. 2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5월 넷째 주 휘발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30.2원 오른 리터당 1993.8원이다. 경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24.0원 상승한 리터당 2000.3원이다. 휘발유 기준 알뜰주유소의 평균 가격이 리터당 1971.8원으로 가장 낮았고, GS칼텍스 주유소가 가장 높은 리터당 2002.8원을 기록했다. 경유도 알뜰주유소가 리터당 1982.3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GS칼텍스 주유소가 가장 비싼 리터당 2011.3원이었다.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40.6원 오른 리터당 2064.0원이었다. 전국 평균보다 70.2원 높은 수준이다.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전주보다 29.4원 상승한 리터당 1966.4원이다. 전국 평균과 비교해 27.3원 낮다. 전 세계적으로 경유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국내 경유 가격은 이달 11일 휘발유 가격을 넘어섰다. 특히 지난 24일에는 사상 처음으로 2000원을 돌파했다. 한국석유공사는 국제 유가 동향에 대해 "중국 베이징 코로나19 방역 조치 강화 및 헝가리의 러시아산 석유 금수 조치 반대 등 영향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고 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5.28 10:04
경제

한국 휘발유 가격, 세계 평균보다 26% 비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유가가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휘발유 가격은 전 세계 평균 대비 26%가량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유가 정보 웹사이트 글로벌페트롤프라이시스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전 세계 휘발유 평균 가격은 리터당 1.33달러를 기록했다. 한국 휘발유 가격은 이보다 25.9% 높은 1.68달러(약 1994.39원)로 집계됐다. 3개월여 만에 300원 가까이 올랐다. 우리나라 휘발유 가격은 집계 대상인 170개국 중 42번째로 비쌌다. 아시아에서는 홍콩과 싱가포르 다음이다. 주요 산유국인 베네수엘라·리비아(이상 0.03달러), 이란(0.05달러) 등은 휘발유 리터당 가격이 0.1달러(약 120원)도 되지 않았다. 세계 3위 산유국인 러시아는 0.48달러였다. 휘발유가 가장 비싼 곳은 홍콩으로, 2.88달러다. 네덜란드(2.58달러)·노르웨이(2.50달러)·이탈리아(2.31달러)·독일(2.30달러) 등도 가격이 비쌌다. 영국과 프랑스도 2달러가 넘었다. 유럽의 휘발유 가격은 다른 지역보다 높은 편이다. 일본은 1.43달러, 중국은 1.46달러로 각각 세계 평균보다 0.1달러 이상 높았다. 미국은 최근 휘발유 가격 급등 현상을 우려하고 있지만, 세계 평균보다는 0.1달러 낮은 1.23달러다. 전 세계 평균 경유(디젤) 가격은 휘발유보다 다소 낮은 리터당 1.27달러다. 한국의 경유 가격은 1.60달러(약 1902.47원)로 세계 평균보다 25.8% 비싸다. 한국은 집계 대상 169개 지역 가운데 경유 가격이 47번째로 높았다. 경윳값이 가장 비싼 나라는 스웨덴(2.71달러)이다. 홍콩·노르웨이·네덜란드·독일·영국·이탈리아·프랑스 등도 2달러를 훌쩍 넘었다. 미국과 중국, 일본은 경유 가격이 1.3달러 안팎으로 세계 평균과 비슷했다. 스웨덴과 영국 등은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싸다. 이란과 베네수엘라, 리비아 등 산유국은 경유 가격이 0.1달러 미만이었다. 일부 국가는 생활비 부담 완화를 위해 유류세를 내리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영국은 유류세를 1년간 리터당 5펜스(약 80원) 인하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탈리아도 한시적으로 유류세를 리터당 5유로센트(약 336원) 내렸다.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 사이트 오피넷은 "러시아산 석유 금수 조치 검토, 카자흐스탄 송유관 가동 중간, 미국 상업 원유 재고 감소 등의 영향으로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3.27 16:35
연예

정유업체, 지난 해 석유제품 수출 최대치 기록

지난해 정유업계가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29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업체가 2016년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은 2015년보다 0.7%증가한 4억5524만6000배럴로 사상 최대치를 이어간 것으로 밝혀졌다.국내 정유사는 최근 수년간 원유도입량의 약 50% 석유제품으로 정제해 수출하고 있다. 수출상대국 수도 지난 해 67개국이었다. 지난해 한국의 최대 석유제품 수출국은 중국으로 전체 수출량의 19%인 약 8700만 배럴을 수출했다. 그 뒤로 싱가포르(16%), 호주(10%), 일본(9%), 대만(6%), 미국(6%) 순이다. 석유제품별로는 경유가 전체의 37%인 1억6827만 배럴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항공유(21%), 휘발유(16%), 나프타(10%) 순으로 고부가가치 경질유 위주로 수출하고 있다. 2017.01.29 14:50
연예

소비자시민모임, 서울 시내 주유소 가격 비교

소비자시민모임 석유감시단은 7일, 서울시내 25개 구 소재 비싼 주유소와 싼 주유소을 조사해 공개했다. 휘발유 기준으로 가장 비싼 주유소는 강남구에 위치한 ㈜동하석유(SK 에너지)로 휘발유가격은 1리터 당 2395원이었다. 경유 가격이 가장 비싼 곳은 중구에 위치한 서남주유소(SK 에너지)로 경유가격은 리터 당 2205원이었다. 2014.01.07 22:1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